본문 바로가기

- 꽃과 야생화

물매화[Grass of Parnassus] 예찬

 물매화[Grass of Parnassus] 예찬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물매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Parnassia palustris L. var. multiseta Ledeb.

 

 

 옛 선비들은 꽃을 보는 기준이  사군자(四君子) 즉, 梅蘭菊竹을 으뜸으로 첬다고 합니다.
외형적 아름다움은 물론 내재한 속성이 君子의 기품이었나 봅니다.
그 중에서도  매화(梅花)가 가장 상석에 앉아 있습니다.

 

"물매화"는  분류학적으로 매화와 유사점이 없는데도
외형적 모습과 내재한 기품이  아름다워  매화(梅花)에 비유하여 이름 지워 준 것 같습니다.

 

 


 

 

광택이 날 정도의 흰 바탕에 무늬골이 파인 5장의 꽃잎...

1개의 암술머리와 다섯 개의 수술.. 5개의 허술..
이 허술이 다시 12-24개로 갈라져 끝에 이슬방울 모양을 달고 있어...
마치 왕관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모습은 정말 매혹적이라 아니 할 수 없습니다.



수술에 달린 꽃밥의 모양은 너무나도 우아 합니다.

그러함에도 이따금씩  붉은색을 칠해 보고 싶어하는 그 마음을 엿볼땐 귀엽기도 합니다.


동호인들 사이에선 "빨간-립스틱"이라고 불리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매화 모양의 꽃잎..수술머리위의 꽃밥..왕관 모양의 허술.. 
이 아름다운 모두가 벌나비를 유혹하기 위함일진데....

벌나비보다 제 마음이 먼저 유혹 당하고 말았습니다.


꽃말이 고결,결백,청조,충실이라고 하니 정말 그럴듯 합니다.


 

 

 

 

 

 

 

 

 


이 물매화를 영어로는 "Grass of Parnassus" 라 하며... 
파르나소스(Parnassus)는 그리스 중부에 있는 산 이름으로 Apollo신과 Muses신의 영지(靈地)라 하니
서양에서도 이 꽃의 높은 품격을 인정 받았는가 봅니다.


한방에서는 매화초(梅花草)라 하여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약재로 쓴답니다.


 

 

 

 

 

 

 

친 동생 격인 "애기물매화" (학명 : Parnassia alpicola MAKINO)가 있어...
한라산 중턱이상 습지에서 자란다는데 아직 보지를 못 했습니다.

 

 


 

                                                                                                  사진 :14.09.13 평창에서 ....

 

 

'- 꽃과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선바위솔  (0) 2014.10.15
정읍 옥정호 구절초 테마 공원   (0) 2014.10.10
바위채송화  (0) 2014.08.14
"금강초롱" 학명 이야기 ...  (0) 2014.08.11
바위떡풀  (0) 2014.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