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한 삶

[한강의다리 6,14,22] “마포대교” “원효대교” “서강대교”

율전-율리야 2007. 12. 6. 19:53
 [한강의다리 6,14,22]  “마포대교”  “원효대교” “서강대교”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졌던 여의도...
간이 비행장으로 쓰여지던 여의도가 68년도에 개발되어 집니다.
당시 ..인근의  밤섬에는 78가구 4백여명이 살고 있었는데...
이들을 이주시키고 밤섬을 폭파하여 그 자재로 여의도를 건설 하지요...
20여년이 지난오늘 3개의 크다란 교량이 설치 되어 있습니다.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 3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한강공원입니다.
오른쪽에 원효대교,  밤섬을 지나는 서강대교가 보이구요...
가운데에 마포대교가 보입니다.

이중 ...가운데 “마포대교”는.....
여의도지구의 도시건설, 서울-인천 및 서울-부산간 고속철도 건설, 
서울-수원간 국도확장, 한강연안 강변고속화도로 신설 등에 의해 
여의도 중심의 한강연안 일대에 교통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교통 배분의 합리화를 기하게 위해 1970년에  6차선 교량이 완공됩니다.

그후 2001년 6월에 이 다리 옆에 신교를 완공하고....
  기존교량도 2001년도에 철거, 재설치 공사가 2005. 12.완료되므로
 왕복 10차로의 다리가 되어 마포로와 여의도의 교통소통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

 [한강의다리14] 민간회사가 건립 통행료를 징수했던...“원효대교”  
초기 6차선의 마포대교 만으로는 교통량을 소화하기 어려워....
1981년도에 원효대교가 건설되지요. 

특히, 이 교량은 민간회사에 의해 건설되어 
초기에는 통행료를 받는 유일한 한강상의 교량이었으나 
서울시에 기부한 이후 톨케이트는 철거되었다네요.... 
 
 [한강의다리22] 밤섬 철새 보호를 위해 설계 건설된 ..“서강대교”  
그후.... 1996년 12월 30일 “서강대교”가 추가 개통 됩니다. 
 이 서강대교 공사의 특징으로는 한강의 수질보호와 
밤섬 철새도래지의 보호를 위하여 설계되어 설치하였답니다. 
철새의 보호를 위하여 야간조명도 설치되지 않았더군요...
야간조명 사진이 없습니다.
여의도의 명물 63빌딩의 모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