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립수목원

광릉 "국립 수목원" 오늘의 마지막 투어...  "국립 수목원" 입니다. 이 지역은 여러 번 왔었는데 ~~~ 조류 사진을 한창 찍을 때... 추운 겨울에 여러 번 왔던 곳입니다. 겨울철이어서 수목원 내부는 잘 둘러 보지를 못하였죠 ~~~ 앞에서도 잠간 언급 했듯이 ~~~ 광릉이 생긴 이후로 "봉산(封山)"으로 지정되어.. 500년 이상을 철저히 통제 되다가 그 후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이 수목원을 조성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저는 어느 특정 수목을 보기 위해서라기보다... 잘 조성된 수목원의 가을 풍경을 보러 온 것인데 ... 단풍은 아직 좀 부족한듯 합니다. 수생식물원 지역을 거쳐 - 삼림박물관 지역을 지나 -  마지막으로 육림호 지역을 둘러보았습니다. 특히 "육림호"는 산속의 작은 호수로 울창한 숲과 맑은 물이 어우.. 더보기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 ... 광릉(光陵) 봉선사에서 나와 ...데크길 "광릉숲길"을 걷습니다.이 지역은 도로도 협소하고 .. 인도도 없었는데  데크길로  수목원까지 잘 만들어 놓았네요~~~약 2.5 km 정도 걸어 "광릉"에 도착 했습니다.       "광릉(光陵)은 조선 제7대 왕 세조(世祖 1417~1468, 재위 1455∼1468)와  세조의 원비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1418∼1483)의 무덤 이죠 ~~  1468년(예종 즉위)에 "세조"가 수강궁에서 세상을 떠나고,   지금 자리에 묻혀 "광릉(光陵)"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 후 1483년(성종 14)에 세조의 원비 정희왕후 윤씨가 온양 행궁에서 세상을 떠난후    광릉 동쪽 언덕에 "정희왕후의 능"이 조성되었죠.... 조선 왕릉 최초로 왕과 왕비의 능을 서로 다른 언덕 위에 따.. 더보기
솔잣새[red crossbill] 이름도 생소한 ... 솔잣새[red crossbill] 분류 : 참새목 되새과의 조류. 학명 : Loxia curvirostra Linnaeus, 1758 "솔잣새"의 부리는 마치 가위처럼 ... 윗부리와 아랫부리가 어긋나 있는게 외형상 특징이다. 이는 딱딱한 잣이나 솔방울의 솔씨를 꺼내 먹기 좋게 오랜 세월 대를이어 생존도구로 진화한 결.. 더보기
"멋쟁이새"[Common Bullfinch] "멋쟁이새"[Common Bullfinch] 분류 : 참새목 되새과의 조류 학명 ; Pyrrhula pyrrhula 이름이 왜 "멋쟁이새" 인가? 천년 만년 "멋쟁이"로 불리게 되었으니 얼마나 큰 가문의 영광이겠는가? 유라시아 전역에 분포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겨울철에 불규칙적으로 잦아 온단다. 아래 사진에서 배가 붉은색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