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왕팔랑나비

선녀부전나비와 왕팔랑나비 선녀(仙女)와 왕(王)의 만남이었습니다. 연속하여 두 나비를 찍게 되었네요~~~ #   1.   선녀부전나비 분류 : 부전나비과의 곤충. 학명 : Artopoetes pryeri 처음 만나는 나비입니다. 세월의 흔적이 보이지만... 선녀의 기품이 느껴집니다. 날개 끝부분으로 이어지는... 두줄의 점선이 동정포인터랍니다.  맑은 날 오후 시간대에 등짝의 모습까지 펼쳐 보여 주네요~~~  연 1회 발생하며 6~7월에 나타난답니다. 평지의 잡목림에 살며...  유충은 쥐똥나무 · 개회나무 등의 잎을 먹으며 알로 월동을 하고요~~~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아무르 등지에 분포하며 ~~ 해질 무렵에 주로 활동한다네요~~~      #   2.    왕팔랑나비 분류 :  팔랑나비과의 곤충. 학명 : Loboc.. 더보기
왕오색나비와 대왕나비 아래 두 나비는... 빨대가 노랗고 납작하다. 이런 나비는 꽃을 찾아오지 않는다. 상수리나무 · 느릅나무 등의 "수액"에 잘 모이며, 때로는 산에 떨어진 썩은 과일/열매나 ... 동물의 배설물에 모이기도 하는 식성이어서 ~~ 보통의 일상에서는 잘 볼수가 없다. # 1. 왕오색나비(수컷) 분류 : 나비목[鱗翅目] 네발나비과의 곤충. 학명 : Sasakia charonda 이 "왕오색나비"는 "수컷"이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며.. 윗면의 색이 파랗지 않다. "흑갈색"이란다. 수컷 47~52mm, 암컷 52~61mm의 대형 나비다. 연 1회 발생하며 6월 하순~7월 하순까지 나타난다. # 2. 대왕나비 분류 : 나비목[鱗翅目] 네발나비과의 곤충. 학명 : Sephisa princeps 연 1회 발생하며, 7월.. 더보기
왕팔랑나비와 칠성무당벌레 왕자팔랑나비 - 왕팔랑나비 - 대왕팔랑나비 라는 계보가 있다. # 1. 왕자팔랑나비 : 이른 봄에 나타나는데... 지금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 2. 왕팔랑나비 분류 : 나비목[鱗翅目] 팔랑나비과의 곤충. 학명 : Lobocla bifasciata 왕자팔랑나비의 뒤를 이어 요즈음 활동한다. # 3. 대왕팔랑나비 아직 보지 못하였다. 자료사진으로 한장 빌려왔다. 칠성무당벌레[ 七星 ] 분류 :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의 곤충. 학명 : Coccinella septempunctata 그늘나무 밑에 잠시 앉아 물을 마시는데 ... 눈앞에 보이던 녀석이다. 등위에 일곱 개의 점이 있다. 무당벌레류 중에서 가장 흔한 종이며 ~~ 유충시절부터 진딧물을 잡아 "육식"으로 포식을 하므로... 진딧물 방제에 크게 기여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