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곤충 동물 썸네일형 리스트형 갈고리흰나비 갈고리흰나비 분류 : 나비목 흰나비과의 곤충. 학명 : Anthocharis scolymus 지난해 이 나비를 "갈고리나비"라고 이름표를 붙였는데... 석주명 박사께서 "갈고리흰나비"로 명명하였다. 물론 "갈구리나비"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부 아시아의 특산종이다. 연 1회 발생하며 ... 4월부터 5월까지 초봄에만 볼 수 있다. 머지않아 안보이게 되면... 또, 1년간 볼 수 없을 것 같아 열심히 찍었지만 ...사진은 늘 부족함이다. 앞날개 끝이 갈고리 처럼 뾰족하게 구부러져 있어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 수컷은 이 갈고리 부분이 노란색이며 암컷은 흰색이다 여기는 전부 "수컷"만 찍혔네요~~~~ 함께 찍은 "큰줄흰나비" ~~~ 찬조출연 입니다. 사진 : 22. 04. 22 광교산에서 ~~~~ 더보기 큰줄흰나비, 멧팔랑나비, 빌로드재니등에 철쭉이 피기 시작한다. 벌 나비들도 새로 피는 꽃을 좋아한다. 아무래도 신선한 음식이 많을 테지 ~~~~ # 1. 큰줄흰나비 분류 : 나비목 흰나비과의 곤충. 학명 : Pieris melete 날개의 시맥을 따라 흑색을 띠는 특징을 갖는다 선이 굵고 진하게 보인다. # 2. 멧팔랑나비 분류 : 팔랑나비과의 나비 학명 : Erynnis montanus (Bremer, 1861) 연 1회 발생하며... 3월 하순부터에서 5월에 걸쳐 보이는 나비다. 멧팔랑나비 암컷 (앞날개 중앙의 흰띠가 넓고 색이 진하다) # 3. 빌로오드재니등에 분류 : 파리목 재니등에과의 곤충 학명 : Bombylius major 크기는 10~11mm이며 몸은 흑색바탕에 옅은 황색의 긴 털이 많이 나있어... "털보등에"라 부르는 사람도.. 더보기 뿔논병아리의 영역(領域) 싸움 새끼들을 기르는 시기에는.... 어미들도 상당히 예민한듯 합니다. 외부로부터 새끼들을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죠~~ # 1. 멀리서 두마리가 머리털을 잔뜩 세우고 ... 심상치 않은 대치 상태다. 싸움의 전초라고 직감 했다. 역광의 방향이라 사진이 다소 어렵지만 추적했다. # 2. 예상데로 잠시 후 ~~~ 싸우기 시작했다. 새끼를 기르는 중이라서 예민한것 같다. 평소와는 달리 새끼들의 안전을 위하여 "영역 침범"으로 생각하여 싸웠을 것이다. # 3. 제가 사진을 찍던 그 "뿔논이" 도 멀리서 이 장면을 본 모양이다. 새끼 세마리를 업은 채.... 현장으로 급거 이동한다. 두 눈에 빨간 불을 켜고?... 긴급 출동이다. # 4. 그가 현장에 도착 했을떼는 대략 싸움은 끝났다. 누가 이기고 누가 졌는지는 잘 모.. 더보기 뿔논병아리의 육추(育雛) 뿔논병아리[ great crested grebe ] 분류 : 논병아리 목 논병아리과의 조류. 학명 : Podiceps cristatus 새 생명을 낳아 기르는 봄이네요.... 뿔논병아리가 육추(育雛)를 시작 했습니다. 사람들은 육아(育兒)라 합니다마는 조류들에게는 병아리추(雛) 자를 써서 "육추(育雛)" 라 합니다. 부화한 지 2-3일 정도의 어린것들을 업고 나가서 물 환경에 익숙시키고 물고기를 잡아 먹입니다. 아직 어려서 ~~~ 엄마 품을 더 좋아하는 시기입니다. # 1 엄마가 아이를 업고 돌보며 ... 아빠가 나가서 고기를 잡아와 아이들에게 먹입니다. 적절히 임무 교대를 해 가면서 ~~~ # 2 막내한테는 고기가 커서 그런지 .. 안 먹고 버리네요~~ 몇 번을 반복하여 끝내 먹입니다. # 3 업고 있.. 더보기 초봄에 보인 나비들 지난주 (11일 - 16일)에 찍은 사진들 ~~~ 한데 모아 포스팅합니다. 요즈음... 나비들이 날아다니는 건 보여도... 잘 앉지도 않고 .. 좋은 사진 한 장 건지기도 어렵네요~~~ㅎ # 1. 호랑나비 호랑나비가 앉지도 않고 날개짖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사진이 되었네요~~ 집에와서 보니.. 벌써 알을 낳는 장면이었습니다. 가시가 달린 이 나무가 "산초나무"? 같기는 한데 ... 조그마하게 자라나 온 새잎 뒷면에 알을 ~~~ 이 알이 자라서 에벌레가 될 때는 이 나무잎도 많이 자라겠죠~~~ 산초나무는 호랑나비 애벌레의 먹이 식물이랍니다. 호랑나비 지혜에 감탄입니다. # 2. 갈고리흰나비 # 3. 큰멋쟁이 나비 # 4. 큰줄흰나비 # 5. 암먹부전나비 # 6. 대만 흰나비 * 저는 아직 "산제비나비".. 더보기 작고 귀여운 ... "산솔새" 산솔새[ crowned willow warbler ] 분류 : 참새목 휘파람새과의 조류 학명 : Phylloscopus coronatus "백련사" 높은 나무가지에 새 한 마리 분주하다. 지속적으로 촐랑대며 이곳 저곳으로 이동을 한다. 그 또한 생존 수단으로 생각 하지만 ~~ 언뜻언뜻 잔등의 연두빛이 보여 '동박새'인가?라고 생각하다가도.. 어떤 순간은 '상모솔새' ? 처럼도 보였다 겨우 몇장 찍어 "산솔새"란 이름을 알아내고 ~~~ 검색을 해 보니.... 몸길이는 약 13cm로 참새보다 작지만... "솔새류" 중에서 크기가 큰 편의 "나그네새" 란다.... 드물게는 우리나라에서 번식도 하는 "여름새" 란다. 사진이 좀 미흡하지만 ... '처음 본 새' 여서 기록해 둔다. 사진 : 2022. 04.15 .. 더보기 쇳빛 부전나비 쇳빛 부전나비 분류 : 부전 나비과의 곤충. 학명 : Ahlbergia ferrea, (Butler, 1866) 쇳빛 부전나비 두 마리가 어울려 재롱을 부린다. 이넘들... 만나기도 쉽지 않던데 ~~~ 한꺼번에 "두마리" 라니 ~~~! 암수인가? 오늘은 이넘들 만이라도 잘 찍어봐야겠다고 마음먹고 열심히 쫓아 다니며... 때로는 많은시간 기다리며... 사진을 찍었는데 ... 쉽지가 않았다. 너무 작다. 손톱만한 크기(13~16mm)이다. 옆으로 조금 돌아앉으면 보이지도 않는다. 초점 맞추기도 어렵다. 한발짝 다가서면 날아가 버린다. ㅎ 초봄 한때를 놓치면 일 년 내내 볼 수 없는 나비 아닌가? 사진 : 22. 04. 11 광교산에서 ~~~~ 더보기 저어새[black-faced spoonbill] 저어새[black-faced spoonbill] 분류 : 황새목 저어새과의 조류. 학명 : Platalea minor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됨(1968년 05월 30일) 세계적으로 동아시아에서만 서식하는 종으로 주로 한국, 홍콩, 대만,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2010년 기준으로 약 2,400여마리가 존재한다는 통계가 있으며... 세계적으로 멸종위기 1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는 새다. 우리나라 강화도 일대 서해안의 무인도에서 많은 수가 찾아와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0년 7월 6일 ~~~ 문화재청에서 저어새 번식지로 추정되는 "강화갯벌"을 천연기념물 419호로 지정했다. 당시 ~~ 이는 ..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하고 있다. * 그중 소수의 무리가 매년 4월에 관곡지 연.. 더보기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