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곤충 동물 썸네일형 리스트형 할미새 3종 날씨가 맑고 ... 춥지 않고 .. 바람도 약하다. 탄천 산책길을 선택했다. 늘상 보던 새들이지만 ~~~ 친구들이 있어 즐거운 시간이다. 특히 오늘은 여름새인 "노랑할미새"가 눈에 띈다. "검은등할미새" 와 "백할미새"들이 한 지역에서 함께 날으니 카메라가 춤을 춘다. 1. 노랑할미새[ gray wagtail ] 분류 : 참새목 할미새과의 조류. 학명 : Motacilla cinerea 낮은 산지 계류에 살면서 ...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여름철새"인데 ~~~ 동남아시아로 돌아가지 않고 겨울을 나고 있다. 기후변화를 실감하게 된다. 2.검은등할미새[ Wagtail ] 분류 : 참새목 할미새과의 조류 학명 : Motacilla grandis 드물게 볼 수 있는 "텃새"이다. 반갑게 맞이 했다. 3. 백할.. 더보기 뜸부기와 물닭 이야기 ... 1. 예전에는 우리나라 논에서 흔히 보이던 "뜸부기" 분류 : 두루미목 뜸부기과의 조류 학명 : Gallicrex cinerea cinerea (GMELIN.) "뜸북 뜸북 뜸부기 ~~ 논에서 울고 ~~" 이렇게 동요로 노래를 불렀던 새... 우리나라 전역에서 번식을 하는 ~~~ 매년 찾아오는 여름철새였는데 .... 약 40cm 정도의 크기로 고기맛이 좋을 뿐 아니라 ~~~ 정력에 좋다는 소문까지 더하여 ... 보이는데로 마구 포획하여 잡아먹었다 네요. 뒤늦게... 천연기념물 제446호(2005. 03. 17 지정)로 지정까지 하며.. 보호하려 했지만 ~~~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의 귀한 새가 되었답니다. ↓ 자료화면 뜸부기 2. 오늘의 주제는 "흰눈썹뜸부기" 입니다. 광명시 "목감천"에 "흰눈썹뜸.. 더보기 탄천에도 ... 흰뺨오리 흰뺨오리[ goldeneye ] 분류 :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 학명 : Bucephala clangula 눈이 노래서 영어로는 goldeneye라 하네요~~~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캄차카 반도에 이르는 유라시아 대륙 북부와 사할린섬에서 번식하고 ~~~ 한국 · 일본 · 타이완 · 중국(남부) · 인도(북부) · 지중해에서 겨울을 난다. 해안선을 따라 흔히 월동하는 겨울철새이다. 봄과 가을의 이동시기에는... 한강에서도 작은 무리가 눈에 띈다. 팔당지역에서 많이 보였는데... 그중 한마리가 탄천까지 방문을 해 준것 같습니다. 탄천에서는 처음 봅니다.~~~ 잠수를 잘해서 ~~~ 바다와 민물에 사는 무척추동물(조개류와 복족류)도 잡아먹는 답니다. 사진 : 22. 01. 10 탄천에서 ~~~~ 더보기 탄천의 새들 탄천의 새들 금년은 겨울철새들이 많이 안 온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어딜가던 새가 안 보이네요~~~ 만보기를 셋팅하고 ... 카메라 하나 달랑들고 산책을 겸한 탄천 투어를 합니다. 늘 보던 새들이지만 .. 그래도 심심치 않아서 좋네요. # 1. 비오리[ common merganser ] 분류 :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 학명 : Mergus merganser ↓ 비오리 ( ♀ ) ↓ 비오리 ( ♂ ) # 2. 민물가마우지[ great cormorant ] 분류 : 사다새목 가마우지과의 조류. 학명 : Phalacrocorax carbo # 3. 되새 [ brambling ] 분류 : 참새목 되새과의 소형 조류. 학명 : Fringilla montifringilla 되새 ( ♀ ) 되새.. 더보기 자갈밭을 좋아하는 ... 흰목물떼새 흰목물떼새[ Long-billed plover ] 분류 : 도요목 물떼새과의 조류 학명 : Charadrius placidus (Gray & Gray, 1863) 흰목물떼새는 자갈이 많은 하천과 강가, 연안 갯벌에 서식하는 희귀한 텃새다. 과거에는 나그네새나 겨울철새로 알려져 있었으나 ~~ 숫자는 많지 않지만 ...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되고 육추하는 것이 관찰되면서 ... 지금은 "텃새"로 분류 하고 있다. 몸길이가 약 20cm 정도 ... 하천의 준설공사등으로 서식지가 파괴됨에 따라 발견되는 수가 제한적이란다.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분류되어 보호받는 종이다. 비슷한 모양의 "꼬마물떼새" 가 있다. 꼬마 물떼새는 눈 주변의 금테안경이 훨씬 두껍고 진하며 눈이 동그랗게 보인다. 우리나라를 찾.. 더보기 요즈음 새가 귀하네요 .. 동고비 .. 쇠박새 .. 노랑턱멧새 요즈음 새가 없다. 겨울 철새들이 많이 안 오는 것 같다. 들깨 한 움큼 가지고... 뒷산의 귀요미 텃새들과 함께 지낸 시간들 ~~~ 그나마 날씨가 오락 가락 해서... 깔끔한 사진이 되지 못하였다. # 1. 동고비[nuthatch] 분류 : 참새목 동고비과에 속하는 조류. 학명 : Sitta europaea # 2. 쇠박새[marsh tit] 분류 : 참새목 박새과의 조류 학명 : Parus palustris # 3. 노랑턱멧새[ yellow-throated bunting ] 분류 : 참새목 되새과의 조류. 학명 : Emberiza elegans # 4. 박새[great tit] 분류 : 참새목 박새과의 조류. 학명 : Parus major 사진 : 22. 01. 0.. 더보기 논병아리의 한건 논병아리[ little grebe ] 분류 : 논병아리목 논병아리과의 조류. 학명 : Tachybaputus ruficollis 일부 텃새도 있지만 .. 대부분 겨울 철새로 날아온다 일정 구역에 2-3마리가 산다. 꼬리도 없이 ... 26cm 정도의 작은 크기로 정말 병아리만 하며 ... 귀여워서 자꾸 사진을 찍게 된다. 열심히 잠수를 하여 ~~ 작은 물고기 · 수생곤충 · 연체동물 · 갑각류 따위의 동물성 먹이를 잡아먹는다. 제법 커다란 물고기를 한마리 잡아서... 요리하느라 씨름하고 있는데 ~~~ 촬영거리가 좀 멀어서 아쉽기는 했어도 한참을 즐겁게 지켜 보았다. 분에 넘치는 크기어서 먹기도 힘들어하는 것 같았다. 결국 잘 먹었지만 ~~~ 이하는 뒤돌아 있었기에 이 정도로 ~~~~ 사진 : 22. 01.. 더보기 밀화부리(蜜花부리), 큰부리밀화부리 밀화부리[ yellow-billed grosbeak ] 분류 : 참새목 되새과의 조류. 학명 : Eophona migratoria 밀랍으로 만든 부리같아서 ... 붙여진 "밀화부리(蜜花부리)"다. 매년 겨울에 ... 중국 동북부와 시베리아 지역에서 월동을 위해 남하하는 "겨울철새" 다 ~~~ 머리가 검은새가 수컷이다. 그중 "큰부리밀화부리" 한 마리가 눈길을 끈다. 금년에 처음 보는 종이다. 온통 성내천이 얼어붙어서... 물을 찾아 물 마시는 모습도 귀엽다. 기후 온난화 현상으로 ~~~ 북쪽도 예전보다 덜 추운가 보다. 먼길 이동이 쉽지 않아 웬만하면 그냥 견디려고 하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겨울철새" 수가 예년에 비해 개체수가 매우 적은 듯하기에 느끼는 생각이다. 사진 : 22. 01. 01.. 더보기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