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 곤충 동물

직박구리의 묘기 도전 직박구리 한 마리가... 재미있는 도전을 하고 있다. 나뭇가지 위에 걸터앉아 편한 자세로 이 홍시를 먹을 수도 있는데... 굳이 이런 방법으로 이 홍시를 먹으려는 이유는 뭘까~~? 수 없이 많은 반복이었다. 계속 반복됨으로 .. 나중에서야 사진을 찍기 시작 했는데 .... 대략 20-30번은 시도를 한것 같다. 끝내 성공한 멋진도전 ~~~ 먹이보다는 도전 성공에 만족하는 듯 ~~~~ 사진 : 21. 12. 06일 한국 민속촌에서 ~~~~ 더보기
팔당의 ... 큰고니 큰고니[ Whooper swan ] 분류 :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 학명 : Cygnus cygnus 이곳을 찾아오눈 고니들은 대부분 "큰고니" 무리들입니다. 이따금씩 "고니"가 섞여 있기도 하지만.. 드물게 보입니다. 백조(白鳥)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진것 같습니다. 시베리아 지역에서 살며 번식을 한후 ... 그 일부가 매년 11월에 와서 겨울을 보내고 3월경에 돌아간답니다.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줄지는 않으나 ~~~ 우리나라를 찾는 고니의 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지속적인 개발로 ... 서식지 여건이 나빠지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답니다. 1968년 5월 31일 천연기념물 제201-2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답니다. 이곳 사진에서 .. 더보기
붉은머리오목눈이 붉은머리오목눈이[ Parrotbill ] 분류 : 참새목>붉은머리오목눈이과 학명 : Paradoxornis webbianus 몸길이 : 약 13cm로 참새보다 작다 "뱁새"라고도 부른다. 번식기가 아닐때는 20-30마리가 떼를지어 무리생활을 하는 귀요미 "텃새"이다 오늘 약 30여마리정도의 큰 무리를 만났는데 ... 어찌나 촐랑대고 숲속을 숨어 다니던지 겨우 몇장 어설프게나마 찍을수 있었다. 뻐꾸기가 이 새 둥지에 주로 탁란을 한다니 놀랍다. 사진 : 21. 12. 01 탄천에서 ~~~ 더보기
자갈밭을 좋아하는 ... 흰목물떼새 흰목물떼새[ Long-billed plover ] 분류 : 도요목 물떼새과 학명 : Charadrius placidus (Gray & Gray, 1863) 전국의 하천변과 연안 갯벌에 사는 희귀한 텃새 ... 동아시아 일부에 걸쳐 널리 분포하지만 서식 밀도는 매우 낮다. 자갈밭이나 모래밭에 오목한 둥지를 짓고 3~4개의 알을 낳아 새끼를 기른다. 하천 정비와 갯벌 매립 등으로 서식지가 훼손되면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서식지를 보전하려는 노력이 더 절실하다.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21. 11. 28 집안에 상(喪)이 있어 ... 블로그를 며칠 쉬었습니다. 사진 : 21. 12. 01일 탄천에서 ~~~~ 더보기
감나무 홍시를 찾은 새들 ... 요즈음 먹잇감이 마땅치 않은데 ~~~ 오며 가며 들려서 맛을 보며 쉬어가는 여유로움이 정겹다. 이넘이 먹던 것을 저놈이 먹고... 저놈이 먹던것을 또 다른 넘이 와서 나누어 먹는다. 직박구리 청설모 직박구리 쇠박새 청딱따구리 사진 : 21. 11. 19 한국 민속촌에서 ~~~~ 더보기
감나무 홍시를 찾아온 ... 동박새 동박새(japanese white-eye) 분류 : 참새목 동박새과의 조류. 학명 : Zosterops japonicus 하얀 테 안경을 낀 연둣빛 동박새 ~~ 참새보다 작은 12cm의 크기다. 제주도를 포함한 .. 동백꽃이 피는 남녁일대에서만 보이던 새가 이제는 수도권에서도 심심찮게 보인다. 꽃의 꿀을 좋아하는데 ... 오늘 감나무 홍시를 찾아왔다. 지난해 감나무 홍시 촬영을 많이 하면서도 이곳에서는 한번도 본 적이 없었는데 ~~~ 오늘 영상의 기온이기는 했지만... 바람도 있고 꽤 쌀쌀 하여 두터운 방한복을 입고 갔었는데 ~~~ 동박새를 만나다니.... 우리나라 날씨가 정말 많이 변했음을 실감한다. 사진 : 21. 11. 26일 한국민속촌에서 ~~~~ 더보기
탄천에서 본 계절의 변화 ~~ 며칠 전부터 아침 기온이 뚝 떨어졌습니다. 어제는 최초로 영하의 기온을 보였고 오늘은 영상 5도 정도였습니다. 오전에 탄천으로 산책길을 바꾸어 겨울철새들의 동정을 살펴 보러 나갔습니다. 산책 나온 사람들도 겨울옷으로 모두 갈아입었더군요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당황하는 모습을 먼저 보게 되었습니다. # 1. 추위에 떠는 ... 처음 보는 나비 한 마리... 날씨가 쌀쌀하여 힘없이 날아와 날개를 확짝펴고 빛을 더 많이 받으려 하더군요~~ 암고운부전나비(암컷)라고 고수님이 알려 주더군요 분류 : 나비목[鱗翅目] 부전나비과의 곤충. 학명 : Thecla betulae 앞날개 중앙과 꼬리모양 돌기에 주황색 무늬가 동정 포인터 같습니다. 연 1회 발생하고 6∼7월에 나타나며... 여름잠을 자고 ... 요즈음 산란도 .. 더보기
작은주홍부전나비 ... 작은주홍부전나비 분류 : 나비목[鱗翅目] 부전나비과의 곤충. 학명 : Lycaena phlaeas "작은주홍부전나비"는 처음 본다. 아니 ~~~ 보고도 "큰주홍부전나비 암컷"이라고 포스팅을 했더니 ... 나비 고수님께서 "작은주홍부전나비"라고 알려 주셨다. 사진도 시원칠 않았는데 ... 무엇이 특징 이었을까? "작은주홍부전나비"를 검색하여 비교를 해 본다. 한반도에 있는 "주홍부전나비류"는 ~~ 검은테주홍부전나비, 남주홍부전나비, 암먹주홍부전나비가 있지만... 이 3종은 북한 지역에만 있단다. 우리나라에는 "작은주홍부전나비", "큰주홍부전나비" 2종이 있는데.... "큰주홍부전나비 수컷"은 날개 윗면이 완전 주홍색이니까 쉽게 구별이 되나 ~~~ 암컷 하고는 정말 비슷하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앞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