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곤충 동물 썸네일형 리스트형 동물들의 성비(性比) "포유류는 암컷이 ... 조류는 수컷이 많다" 최근에 흔히 보이는 조류들 중 '딱새'와 '밀화부리'를 촬영 하면서 느낀 소감은 ... "숫컷"이 "암컷"보다 더 많이 보였다. '암수의 성비'에 대한 의문이 생겨서 ~~ 검색을 통하여 알아 보았다. 현재 사람들은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1대 1인 시대에 살고 있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 살고 있는 동물들은 종에 따라 그 성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이유는 성 염색체 때문이라는데 ~~~ 내용이 복잡하고 설명도 난해하여 .... 결과적인 도표 한장으로 대신한다. 위 도표에서 파란색이 수컷(♂ )이고 ... 붉은색이 암컷(♀)을 나타낸다. 포유류는 암컷비율이 높고 ... 조류는 수컷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출처 : 타마스 스제켈리 영국 바스대 생물학부 .. 더보기 황조롱이 ... 도심속의 맹금류 황조롱이[ kestrel ] 분류 : 매목 매과의 조류. 학명 : Falco tinnunculus interstinctus 오후에는 날씨마저 흐려져 ~~ 일찍 귀가하며 ... 잠시 들려본 경안천 뚝방길에서 "황조롱이" 한마리를 만났다. 높은 전봇대 위에 앉아서 그 앞의 갈대밭을 응시하다가 쏜살같이 내려가지만 ... 여의치 않은 듯 ~~~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흔히 관찰할 수 있는 텃새로... 천연기념물 제323-8호로 지정하여 보호하는 새다.. 설치류(들쥐) · 두더지 · 작은 새 · 곤충류 · 파충류 등을 잡아먹는다. 최근 도심 속 빌딩의 옥상, 아파트 베란다의 화단 등에서 번식하는 맹금류가 매스컴에 심심치 않게 올라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 주인공이 바로 이 "황조롱이"다. 이렇게 살게 .. 더보기 오목눈이 .. 한국의 텃새 오목눈이[long-tailed tit] .. 한국의 텃새 분류 : 참새목 오목눈이과의 조류. 학명 : Aegithalos caudatus 몸길이 약 14cm이다. 이중, 꼬리가 약 8cm로 긴 것이 특징이며 ... 눈이 오목하다. 번식기에는 암수 함께 살지만 ... 그 밖의 시기에는 4∼5마리씩 가족 집단을 형성하는데 다른 종과 섞여 더 큰 무리를 이룰 때도 있다. 나무 가지가 많은 곳에서 .... 어찌나 동작이 민첩하게 촐랑되며 움직이는지 ~~ 잠시도 그냥 앉아 있지를 않더군요~~~ 흰머리오목눈이 ... 붉은머리 오목눈이 ... 제주오목눈이 ...와 같이 특별한 주석이 없는 이 "오목눈이"가 원조인가 보다. "제주오목눈이"는 보지 못했네요 ~~ 시진 : 21. 12. 22 탄천에서 ~~~~ 더보기 "할미새"란 이름의 어원은 ? "할미새"라는 이름을 가진 새의 종류는 참 많다. 여름철새도 있고.. 겨울철새도 있다. 이 새의 특징은 ~~~ 파도형으로 훨~훨~ 나르며... 자리에 앉으면 꼬리를 아래위로 까딱까딱 하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그래서 영어로는 꼬리를 흔든다는 의미인 "wagtail"이라 하는데 .... 우리나라에서는 어찌 "할미새"라 했는지 모르겠다. ↓ 백할미새 ↓ 검은등할미새 다양한 방법으로 검색을 참 많이도 해봤습니다. 할미새의 어원은 꼬리를 흔든다는 의미의 '할미'에서 왔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기는 한데 ... 흔들 "할" .. 꼬리 "미(尾)"자를 써서 "할미새"일 텐데.... 흔들 "할"자의 한자어를 찾지 못했네요~~~ 정확하게는 흔든다는 표현보다 ~~ 아래위로 까딱 까딱하는 모습이죠 ... 중국에서는 척령(鶺.. 더보기 생태계의 천적 ... "민물가마우지" 요즈음 강과 호수에... 이 "민물가마우지"가 엄청 많아졌습니다. 이들은 중국 동북 3성이 주 서식지 였는데.... 우리나라에 겨울 철새로 날아와...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바다에 사는 "가마우지"와 비슷 하면서도 내륙 강/호수에 살기에 "민물가마우지"로 불리게 되었답니다. ↓ 이제 겨울이 시작 되었는데 .... 벌써 내년봄의 번식을 위한 짝을 찾기 위하여 머리 부분과 넓적다리 부분에 흰 "번식 깃"으로 단장하고 암컷을 유인하고 있습니다. 마음은 이미 내년 봄의 번식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무리지어 생활하는데 ~~~ 이들이 점령한 지역 일대는 그들 배설물의 강한 산성으로 인하여 나무들이 모두 죽게 됩니다. 닥치는 대로 물고기도 엄청 잡아먹습니다. 대부분의 조류들은 자연환경의.. 더보기 탄천의 ... 비오리 비오리[ common merganser ] 분류 :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 학명 : Mergus merganser 팔당에만 가도 ... "호사비오리" ... "흰비오리"가 있는데... 팔당으로 연결되는 이곳 탄천에는 "비오리"밖에 없네요~~~~ 그래도 멋진 모습을 보여 줍니다.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고 .. 새끼들은 수생곤충을 잡아먹는답니다. 머리가 갈색인것이 암컷이며... 흑청색이 수컷 입니다. 물론 겨울에만 오는 겨울철새 랍니다. ↓ 비오리 ( ♀ ) ↓ 비오리 ( ♂ ) 사진 : 21. 12. 14일 탄천에서 ~~~~~ 더보기 동고비와 쇠박새 요즈음 사진이 참 애매 하다. 들녘의 풍경은 빛바랜 지 이미 오래고 날씨마저 음삼하다. 겨울철 다운 현상도 없다. 코로나 판데믹의 영향으로 심리적으로는 갈수록 위축된다. 동네에서 찍은 ... 동고비와 쇠박새 ~~ 그 귀여움으로 올립니다. # 1. 동고비[nuthatch] 분류 : 참새목 동고비과에 속하는 조류. 학명 : Sitta europaea 머리를 든 모습이 마치 등이 굽은 모양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등굽이"라고 불렀다는데 ... 세월이 흐르며 구개음화 되어 지금은 "동고비"라고 부르게 되었답니다. # 2. 쇠박새[marsh tit] 분류 : 참새목 박새과의 조류 학명 : Parus palustris 박새과의 여러 새 중에서.. 가장 작은 종이다. 이름 앞에 "쇠"자가 붙은 건 모두 그 종에서 가.. 더보기 노랑턱멧새 노랑턱멧새[ yellow-throated bunting ] 분류 : 참새목 되새과의 조류. 학명 : Emberiza elegans 몸길이 약 16cm로 ... 참새보다 조금 크다(참새 14cm) 우리나라 "텃새"이자 .. 일부 북녁에서 번식한 새가 겨울철에 남하하기도 한다. 그래서 겨울철에 더 많이 보인다. 소규모의 무리인 3마리가 먹이로 유혹하는 촬영장소에 나타났다.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조류 ~~~ 노랑턱멧새 또한 "명금류[鳴禽類]"로 분류하며... 봄철 짝짖기 시절... 암컷을 찾을 때만 들을 수 있단다. 수컷이 헤어스타일도 멋지고 .. 색상도 화려한 옷을 입었다. ↓ 노랑턱멧새 ( ♂ ) ↓ 노랑턱멧새 ( ♀ ) 사진 : 21. 12. 12일 광교산 자락에서 ~~~~ 더보기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