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 곤충 동물

흰줄표범나비 암컷 흰줄표범나비 분류 : 나비목 네발나비과의 곤충. 학명 : Argyronome laodice (Pallas) 제가 늘 다니는 광교산 양지바른 이 골짜기는 요즈음 "흰줄표범나비"가 참 많습니다. 최초에는 "네발나비"에게 쫓기더니... 요즈음은 네발나비는 거의 보이지 않네요~~ 조금 큰나비가 "개망초"에 날아왔습니다. 옳커니 ~~~~ 이게 뭐냐? 크게 기대하며 망원 랜즈를 통하여 보니 "흰줄표범나비 암컷"이었습니다. 양쪽 날개 끝에 "흰 삼각형 점무늬"가 "암컷" 성표라는 걸 알았기 때문에 식별 가능했습니다. 배경이 깔끔하여 ~~~ 여러장을 찍었습니다. 몸길이는 58~64mm로 대체적으로 암컷은 수컷에 비해 크고 날개 모양이 둥그스름합니다. 이 나비는 6월에서 10월에 걸쳐 연 1회 출현한답니다. 더운 여름철.. 더보기
'길앞잡이' & '은판나비' 1. 산길 안내하는... 길앞잡이(Tiger beetle) 분류 : 딱정벌레목 길앞잡이과의 곤충 학명 : Cicindela chinensis flammifera 다리가 길고 ~~ 오색찬란한 ~~ 벌레가 내가 가는길을 따라 내 앞에서 폴삭 거린다. 이런 걸 사진 찍어서 뭘 하겠나? 싶어 지나치다가... 계속 내 앞에 보이기에 몇 장 찍었는데... 마치 사람의 길을 안내하는듯한 행동이 천성이었던가 보다. 그래서 붙여진 이름이 "길앞잡이"란다. 그러나 이런 친절함 뒤엔... 산길에서 개미나 늑대거미 등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단다. 주변을 지나가는 벌레들에게 마구 달려들기도 하구요 ... 그래서 영어로는 ‘타이거 비틀(Tiger beetle)’이라고 부른다네요. 처음 보기도 했지만 ~~~ 이름이 너무 특이해서 기.. 더보기
거위벌레의 살아가는 지혜 너무나도 정교하게 만든 벌레집 ~~~ 사람이 만들어도 이보다 더 절 만들수가 있을까? 싶다. 한참을 보다가 그 신비스러움에 사진을 찍었다. 누구의 집인지 궁금했기에~~~ 곤충을 전문으로하는 카페에 올려 질문을 하였다. "거위벌레의 알집"이라고 알려준다. 검색하여 보니 ~~~~ 거위벌레 성충의 몸길이는 8~9.5 mm이며 이렇게 집을지어 ... 그 속에 알 1-2개를 낳는단다. 그리고는 적당한 시기에 이 집이 땅에 떨어지도록 사전에 적당히 톱질을 해 놓는단다. 이 집속에서 부화한후 이 집을 갉아 먹으며 어느정도 자라면 .... 이 집이 땅위에 떨어진단다. 그후 이 집에서 기어나와 ... 땅속에서 애벌레로 생활한단다. "도토리 거위벌레" 이야기에 이어 ~~~~ 거위벌레의 살아가는 지혜와 그 능력에 감동이다... 더보기
처음 만난 ... 황알락팔랑나비 황알락팔랑나비 분류 : 나비목 팔랑 나비과의 곤충. 학명 : Potanthus flavum (Murray) 팔랑나비 종류도 약 30여 종이란다. 오늘 만난 이 나비는... 이름도 처음 알고.. 모습도 처음 보았다. 산행길 초입에서 바로 만났다. 몸길이 10mm, 날개 편 길이 30mm이다. 머리 부분은 검은색을 띠며 날개의 테두리 부분은 선명한 오렌지색이다. 초여름과 늦여름에 걸쳐 1년에 2회 발생하며, 주로 붉은색과 흰색을 띠는 꽃에 모인다. 알려진 기주식물로는 억새와 강아지풀이 있다. 어른벌레는 까치수영 · 개망초 · 갈퀴나물 등에서 주로 꿀을 빤다. 동물의 죽은 시체나 배설물 등에 모이기도 한다. 한국·일본·중국·극동 러시아·필리핀·말레이시아·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아래 사진은 ... 덤입니다. ↓.. 더보기
암검은표범나비 수컷 암검은표범나비 분류 : 나비목[鱗翅目] 네발나비과의 곤충. 학명 : Damora sagana 나비 이름 알아내는것 .. 쉽지가 않네요~~ 표범나비류 이긴한데 ... 늘 보던 "흰줄표범나비"와는 크기부터 좀 다르더군요~~ 사진 첨부하여 고수님들께 물어보니... 대답도 서로 달랐습니다. 대게는 암수가 유사하며 "성표"로 암수구별을 하는데.... 이 나비는 암수가 너무 차이가 나서 ~~ 혼동할수 밖에 없겠더라고요~~ 결론은 "암검은표범나비 수컷"이었습니다. 암 검은 표범나비 암컷은 이렇게 생겼네요 ~~~ 아래 나비는 "흰줄표범나비" 입니다. 그동안 수컷만 보다가... 암컷이 보이길래 구분/비교해 봅니다. ↓ 흰줄표범나비 암컷(흰색삼각형) ↓ 흰줄 표범나비 수컷(검정색 두줄) 사진 : 21. 06. 16 광교산.. 더보기
"깊은산록색부전나비"의 생존지혜 "깊은산록색부전나비" 분류 : 나비목[鱗翅目] 부전나비과의 곤충. 학명 : 학명 : Favonius korshunovi 이날 바람이 제법 강하여 ... 나뭇잎이 여러번 뒤집혔는데도... 이 나비 거뜬히 붙어 있다. 흔들림을 즐기는듯 ~~~ 발바닥에 뽄드를 붙였는지? ~~ 대단한 능력이라 생각한다. 여러 장의 사진을 찍었지만... 사진이 똑같다. 이 '부전나비'는 앞뒤로 머리를 2개 달고 있다.... 물론 하나는 가짜다. 그런데 ... 가짜가 더 잘 보인다. 새들이 이 나비를 잡으러 온다면 ... 가짜 부분을 공격할 것이다. 날개 조금 떼어주면 살수 있다. "부전나비"중에는 이러한 모양의 나비들이 다수이다. 사진 : 21. 06. 16 광교산에서 ~~~~ 더보기
뿔나비와 제이줄나비 오전은 흐리고... 오후는 햇빛 쨍쨍의 예보다. 빛이나면 너무 더워서 오전 이른시간에 잠시 다녀오려고 나갔는데 현장에는 예보와는 달리 빛이 강했다. 그 많던 "네발나비"가 잘 보이지 않고... "흰줄표범나비"가 여러 개체 보인다. 여전히 나풀나풀 나르는 "세줄나비"에 오늘은 "노랑나비" 두어마리가 추가로 보인다. 1. 뿔나비 뿔나비 : 나비목 네발나비과의 곤충. 학명 : Libythea celtis 길바닥에 "뿔나비"가 자주 보이지만 ... 날개를 편 모습을 오늘 처음 보았다. "뿔나비"란 이름이 ~~~ 갈고리 처럼 각이진 날개 모양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긴 "아랫입술수염" 좌우 두 개가 합쳐져서 머리보다 길게 나와 마치 "뿔"처럼 보이는데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2. 제이줄나비 분류 : 나비목[鱗翅目.. 더보기
칡때까치와 쇠딱따구리 유조 1. 칡때까치[ thick-billed shrike ] 분류 : 참새목 때까치과의 조류. 학명 : Lanius tigrinus 여름새로 날아온 흔치 않은 새인데 ~~~ 이 부근 어디가 삶의 근거지인듯 ... 자주 보인다. 너의 둥지는 어디냐? 육추하는 모습 ... 보여 줄거지? 2. 쇠딱따구리[ pygmy woodpecker ] 분류 : 딱따구리목 딱따구리과의 조류. 학명 : Dendrocopos kizuki 약 15cm 크기의 가장 작은 "딱따구리"종이다. 이 부근 어디선가 육추 끝나고 이소를 한 모양이다 유조 3-4마리가 함께 나드리를 나왔네 ~~~ 3. "흰줄표범나비"는 뒷전으로 밀렸구 ~~~ 사진 : 21. 06. 11 광교산에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