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 곤충 동물

굴뚝나비와 흰나비류 뭔가 새로운 나비를 찍고 싶지만 ~~~ 요즈음 보이는 게 "굴뚝나비"와 "흰나비"류 뿐이다. 굴뚝나비의 시즌인가 보다. 시커멓고 못 생겼을뿐 아니라 ... 그나마도 꽃에 앉는 모습은 볼 수도 없다. 일 년에 한 번.... 6월 하순 에서 9월 초까지 나타난단다. 보일 때 한번 더 찍어두자 ~~ 메뚜기도 한철이라 하지 않는가? 흰나비도 찍어 줘야지 ~~~ 흔하고 귀한 것이 어디 따로 있겠나? 어쩌면 가장 가까운 나비가 아니겠나? 사진 : 21. 07. 05 광교산에서 ~~~~ 더보기
산책길에서 만난 ... 두꺼비 두꺼비[ toad ] 분류 : 개구리목 두꺼비과에 속하는 양서류 학명 : Bufo bufo gargarizans CANTOR 두꺼비는 나라의 흥망을 나타내는 조짐으로 ... 또는 불보(佛寶)를 보호하는 신령스런 동물로 삼국시대의 기록에 나타나고 있다. 두꺼비의 지혜를 다룬 설화도 많고 두꺼비는 은혜를 갚을 줄 아는 동물로 ... 또한 신비한 능력을 갖춘 동물로도 나타난다. 아이들은 두꺼비에게 헌집 줄게 새집 달라는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잘 생긴 자식을 얻으면 '떡두꺼비 같다'라고 표현하기도 하며 두꺼비표 소주도 있고 ... 식당이나 가게의 상호로도 많이 사용되면서 우화 · 민담 · 민요 등의 주인공이 되어서 슬기롭고 의리 있는 동물로 형상화되고 있다. 그런 두꺼비를 참 오랫만에 산책길에서 만났다. 사진.. 더보기
자귀나무위 "긴꼬리제비나비 " 긴꼬리제비나비 ( Papilionidae ) 분류 : 나비목[鱗翅目] 호랑나비과의 곤충. 학명 : Papilio macilentus 약 일주일전부터 ... 날아다니는 건 많이 보았지만 ...앉지를 않아 촬영을 하지 못했는데 ~~~ 오늘에서야 사진으로 담을수가 있었다. 긴꼬리제비나비는 1년에 두 번 나타나는데 ~~~ 봄형은 4월 중순부터 6월 초순에, 여름형은 7월 초순부터 8월 하순에 볼 수 있단다. 봄형(春型)은 여름형(夏型) 보다 작고, 또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날개편 길이 봄형 60-80mm, 여름형 102-120mm로 제비나비 무리 중에서 크다 뒷날개의 꼬리돌기는 길다. 날개의 색깔은 검은색이고, 뒷날개의 바깥가장자리에 적색의 초승달 모양의 무늬가 5개 있으며, 수컷은 이 밖에 뒷날개의 앞 가장.. 더보기
꾀꼬리 유조 한마리의 사연 육추 중이던 여기산 꾀꼬리... 날씨도 궂고 ... 계속 비가와서 ... 둥지마저 안전치 못하게 되어 ~~ 일찍 이소를 시켰단다. 마지막 남은 막내가 ~~~ 형들 다 떠나고 ... 둥지도 불안하여 어찌하다가 둥지에서 떨어졌는데 그나마 날개짖을 하여 생명은 무사하다. 사람들을 피하여 산 쪽으로 가려다가... 콘크리트 배수구를 건너지 못하고 빠진것을 꺼네주고 나무다리까지 놓아주었단다. 오랜 기다림 끝에 ~~~~ 어미가 찾아온 느낌을 알아챈 아기 꾀꼬리 ... 기쁨의 전률을 느끼며... 엄마와 재회하는 순간이다. 1-2일만 견디면 날아 가겠던데 ... 어미의 보호가 길냥이 꼼수를 넘길 바란다. 영상 : 21. 07. 01 여기산에서 ~~~~ 더보기
푸른부전나비, 남방부전나비, 암먹부전나비 오늘 날씨 때문인지? 전반적인 이상기후 때문인지? 나비들이 잘 보이지를 않는다 어떤 이는 ... 올해는 "나비 흉년"이란 표현까지 쓰더군요~~~ 늘 보던 나비들뿐이다. 날개를 접었을때 1cm가 채 안 되는 ~~ 아주 작은 나비에 필이 꽂혔다. "푸른부전나비" ... "남방부전나비"와 "암먹부전나비"를 따라다녔다. 아마도 ... 가장 작고 ... 가장 흔한 나비가 아닐까? 싶다 1. 푸른부전나비 분류 : 나비목 부전나비과의 곤충. 학명 : Celastrina argiolus (Linnaeus) 2. 남방부전나비[ pale grass blue ] 분류 : 나비목[鱗翅目] 부전나비과의 곤충. 학명 : Zizera maha 유충은 괭이밥을 먹는다. 3. 암먹부전나비 분류 : 나비목[鱗翅目] 부전나비과 곤충. 학.. 더보기
'산녹색부전나비' 와 '파리매' 아침 일찍 흐리고/비 예상을 깨고 햇빛 쨍쨍이다. 오후 예보는 역시 좋지 않기에... 평소보다 일찍 광교산 산책길에 나섰다 간밤에 비내린 흔적이 역역하다. 늘 보던 나비들이다. "제비나비"와 "호랑나비"도 보았지만 .... 앉아주질 않아 눈으로만 보았다. "산녹색부전나비"를 최초 만났던 그 지점에서 다시 만났다. 그 사이에 날개에 많은 손상을 입었더군요~~ 아마도 선점해 있던 다른 부전 나비에 쫓기면서 그렇게 된 모양입니다. 이렇듯 선점나비와의 주도권 싸움에서 날개를 가장 많이 다친답니다. 이젠 비교적 여유있게 지내더군요~~~ 파리매[Robber Flies] .. 곤충계의 무법자 분류 : 파리목[雙翅目] 파리매과의 곤충. 학명 : Promachus yesonicus 곤충을 잡아 육식을 하는 "파리매" ... 더보기
굴뚝나비 굴뚝나비 분류 : 나비목[鱗翅目] 네발나비과의 곤충. 학명 : Minois dryas 조류에도 "굴뚝새"가 있는데... 나비에도 "굴뚝나비"가 있네요 ~~ 이름 유래는 안 들어도 알 것 같습니다. 색이 검다는것 ... 그리고 날개를 접었을 때 보이는 흰 선이 굴뚝에서 나는 연기처럼 보인다는데서 유래되었답니다. 앞날개의 길이는 수컷이 25∼34mm, 암컷이 30∼39mm정도 ~~ 날개는 흑갈색이고 앞날개에 2개, 뒷날개에 1개의 흑색 무늬가 있으며 이것이 뱀눈무늬로 보여서 ..... "뱀눈무늬아과"로 분류한답니다. 연 1회 발생하며 7∼8월에 나타난다. 억새 등의 풀 사이에 산란하는데 방란(放卵)한다. 이듬해 봄에 억새·새포아풀 등의 잎을 먹고 자란다. 노숙한 유충은 땅속에 들어가 번데기집을 틀고 그 속에.. 더보기
칡때까치와 노랑할미새 1. 칡때까치 [Tiger Shrike] 분류 : 참새목 때까치과의 조류 학명 : Lanius tigrinus Drapiez, 1828 말레이 반도와 인도차이나 남부에서 월동하고 ~~~ 우리나라를 찾아와 번식을 하는 "여름새"다. 소규모이어서... 철새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는 것 같다. 지난 5월부터 이곳 광교산에서 3번째 만난다. 매번 "칡넝쿨이 우거진 곳"에서 만났다. 왜 "칡때까치"라 부르게 되었을까? 칡넝쿨과는 어떤 생태적 관계가 있을까? 다방면으로 검색을 해 보았지만 .... 갈색의 등 색깔이 칡색갈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란 정도다. 영명 [Tiger Shrike] 역시 호피색 같다는 의미란다. 우리나라 토종인 "때까치" 보다는 육추 시기가 다소 늦다고 한다. 제가 보기에도 아직 육추 전인듯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