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 곤충 동물

나비 부위별이름과 보호나비 1. 나비 부위별 이름 2. 보호나비 한국에서 볼수 있는 나비는 ~~ 미접나비를 포함하여 5개 과 268종으로 ... 호랑나비과, 흰나비과, 부전나비과, 네발나비과, 팔랑나비과로 대별하여 분류 하고 있으며 .... 총 268종을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가. 이중 ... 산굴뚝나비 (Eumenis autonoe)는 2005년도에 나비로서는 처음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연 1회 발생하며 5월부터 9월에 걸쳐 제주도 한라산 정상부근에서 나타나고 바위에 즐겨 앉는다고 합니다. 빙하기에 추위를 피해 남하했다가 이후 제주도에 고립되어 살아남은 희귀종으로 서식환경이 제한되어 있고 생물·지리학상 중요한 곤충으로 분류되어 있답니다. 나. 희귀종 및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는 나비들 그외 급속한.. 더보기
흰줄표범나비 오늘 "표범나비"를 처음 사진으로 담았네요. 날개 무늬가 표범을 닮았기에 붙여진 이름 ~~ 표범나비류도 만만치가 읺습니다~~ - 은점선표범나비 무리 - 작은표범나비 무리 - 은점표범나비 무리 - 표범나비 무리 로 대별 한다는데... (한반도 나비 도감) 이중 "표범나비무리"의 분류표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중 맨 하단에 있는 "흰줄표범나비"를 찍은 것이죠. 흰줄표범나비 분류 : 나비목 네발나비과의 곤충. 학명 : Argyronome laodice (Pallas) 몸길이 58~64mm이다. 대체적으로 암컷은 수컷에 비해 크고 날개 모양이 둥그스름하다. 어른벌레는 6월에서 10월에 걸쳐 연 1회 출현한다. 야산의 풀밭이나 하천 가, 산등성이의 초지 등에서 엉겅퀴·개망초·큰 까치수영 등의 꽃에서 꿀을 빨아.. 더보기
기후위기로 사라지는 나비들 기후위기로 사라지는 나비들 미국 네바다주립대학교 생물학과 매튜 포리스터(Matthew Forister)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21. 04.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서부 70개 이상 지역에서 수십 년간 기록된 450종이 넘는 나비 개체군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 특히 가을철 온난화가 나비에게 가장 치명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서부에 서식하는 나비 개체수는 기후위기로 인한 가을철 온난화와 건조화 현상으로 1977년 이후 지난 40여년 동안 매해 1.6%씩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을과 여름이 점점 더 길어지고 뜨거워지면서 식물들은 바짝 말라버리게 되고 ... 이는 나비가 섭취하는 과즙 등 공급을 감소시켰.. 더보기
네발나비의 '우화부전 (羽化不全)' 우화(羽化)를 하는 순간에 .... 어떤 외부적인 장애를 받았을까? 아니면 .. 날개 시맥에 혈류가 막혀서 ... 날개를 제대로 다 펴지못했을까? 한쪽날개에 장애를 안고 태어났네 ... 잘 날지를 못하고 자꾸만 한 장소에 머무르는 모습이 마음 짠~ 하다. 사진 : 21. 06. 04 광교산에서 ~~~ 더보기
아듀 ~~ ! "모시나비"와의 작별 모시나비 분류 : 나비목[鱗翅目] 호랑나비과의 곤충. 학명 : Parnassius stubbendorfii 약 한 달 전 ~~~~ 우연히 광교산 어느 골짜기 산책길에서... 이 모시나비를 보고 반해버린 것이 나비사진을 찍게 된 동기 었다. 우아한 모습에 반해 열심히 따라 다니며 사진으로 담았었는데 ~~~ 이젠 한두마리 힘없이 날고... 그들이 찾던 나무딸기도 모두 꽃이 지고 열매가 달렸다. 일 년에 한 번 보이는 모시나비 ~~~ 오늘 금계국에서 꿀을 빠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수 태낭"까지 차고서... 금년도 마지막 모습이라 생각하며 사진으로 남겼다. 이젠 일년후를 기약해야 할 때인 것 같다. 그동안 쨤쨤이 찍었던 사진들 ~~~ 모두 모아 올리며 금년도 광교산 마지막 하직인사를 나눈다. 어딘가에 있을 .. 더보기
처음만난 '줄나비' 그동안 "세줄나비류"들을 여럿 만났는데... 등에 한줄 .. 두줄.. 이 있는 형태의 나비들도 여럿이 있더군요~~ 앞으로 몇종이나 볼 수 있을는지 모르겠으나 처음으로 한줄이 뚜렷한 나비 한 마리 만났습니다. 처음 만나는 나비는 ~~ 저의 기쁨이고 .. 행복이 되었습니다. ㅎ "줄 나비"로 동정을 했습니다만 ~~~~ 줄나비 분류 : 나비목[鱗翅目] 네발나비과의 곤충. 학명 : Limenitis camilla 연 2∼3회 발생하며 5∼9월에 활발하게 날아다닌다. 유충은 인동덩굴 ·병꽃나무 등을 먹으며, 잎을 말아 집을 만든다. 보통 3령충으로 월동한다. 한국 ·일본 ·중국 ·유럽에 널리 분포한다. ↓ 이날 함께 본 "칡때까치[ thick-billed shrike ]" 입니다. 분류 : 참새목 때까치과의 조류.. 더보기
청띠신선나비 청띠신선나비 분류 : 나비목 네발나비과의 곤충. 학명 : Kaniska canace (Linnaeus) 얼마나 살았길래 ~~? 어떻게 살았길래 ~~~? 이 지경이 되었을까....? 나비들의 날개가 손상되는 이유는 가장큰것이 자기영역을 지키기위한 전투? 에서의 손상이고 ... 나뭇잎이나 나뭇가지에 걸려서 그리고 다른 포식자들의 공격에 의한 것이라고 하네요~~~ 날개를 보아하니 ... 태어난 이후 그동안 산전수전 다 겪은듯 ~~~~ 빛도 바래고 ...기력도 떨어지고 ~~~ 따뜻한 돌맹이가 이젠 더 좋은가 보네요. 자료검색을 해 보니 ... 보통 연 2회 발생하며, 어른벌레로 겨울나기를 하여 4월~5월까지 출현하여 6월부터 제1화기 어른벌레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10월까지 지역에 따라 1~2회 계속 발생한다. .. 더보기
네발나비의 자기 "영역지키기" 목격담 네발나비의 자기 "영역 지키기" 목격담 이야기 모든 생명체들은 자기가 살아가는 일정한 영역이 있다. 이 영역에 다른 경쟁자가 들어오는걸 원하지 않는다. 조류사진을 찍으며 ... 이러한 현상을 많이 목격했다. 나비들도 일정한 범위의 자기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경쟁자가 나타나면 쫓아낸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오늘 그 영역을 지키기 위한 행동을 목격했다. ↓ 네발나비의 경쟁자 "흰줄표범나비" 내가 늘 다니는 산책길의 양지바른 곳... 이곳에는 "네발나비"들이 유난히 많다. 오늘도 주위를 살피고 걷는데 ... 주홍빛이 더욱선명하고 .. 네발나비보다 큰 나비가 보여 기쁜 마음으로 닦아가 사진을 찍고 있는데.... 느닷없이 네발네비가 날아와 이 나비를 쫒는다. 사진도 잘 찍지를 못했다. 어이없이 바라다 보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