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 곤충 동물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 오늘 관곡지에 '저어새'를 보러 갔다가 ~~~ '노랑부리 저어새'가 한 마리 끼어 있어... 감사한 마음으로 보았습니다. 두 새의 차이점을 알아보려 합니다. 세계적으로 저어새는 5종이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볼수 있는 것은 2종으로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입니다. 외형상의 차이점을 이야기하기 전에.... 1. 저어새는 '여름철새'이고 .. 노랑부리 저어새는 '겨울철새'입니다. 저어새는 이제 막 와서 우리나라에서 번식을 할 것입니다만.. 지난가을 10월경에 와서 남쪽 주남저수지 부근에서 주로 생활하던 노랑부리 저어새는 이제 북쪽으로 떠나기위해 여기까지 올라온 것 같습니다. 2.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숫자로는 약 9대1 정도로 노랑부리 저어새가 훨씬 귀하여 보기 어렵습니다. 두새가 모두 천연기념물.. 더보기
알락할미새[ white wagtail ] 알락할미새[ white wagtail ] 분류 : 참새목 할미새과의 조류. 학명 : Motacilla alba 가장 일찍 찾아오는 여름새 ... 눈썹선이 없는게 동정포인터 ~~ 사진 : 21. 04. 07 더보기
멸종위기 1급 ... 저어새 [black-faced spoonbill] 저어새[black-faced spoonbill] 분류 : 황새목 저어새과의 조류. 학명 : Platalea minor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됨(1968년 05월 30일) 세계적으로 동아시아에서만 서식하는 종으로 주로 한국, 홍콩, 대만,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2010년 기준으로 약 2,400여마리가 존재한다는 통계가 있으며... 멸종위기 1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는 새다. 특히 여름철에는 우리나라 강화도 일대 서해안의 무인도에서 많은 수가 찾아와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0년 7월 6일 ~~~ 문화재청에서 저어새 번식지로 추정되는 "강화갯벌"을 천연기념물 419호로 지정했다. 이는 ..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름 유래 한글(저어새 : 먹이를 잡을 때 갯벌을 .. 더보기
뿔논병아리의 육추(育雛) 뿔논병아리[ great crested grebe ]의 육추(育雛) 분류 : 논병아리 목 논병아리과의 조류. 학명 : Podiceps cristatus 어느덧 조류들도 ~~~ 새 생명을 낳아 기르는 봄이네요.... 사람들은 육아(育兒)라 합니다마는 조류들에게는 병아리추(雛) 자를 써서 육추(育雛) 라 합니다. 부화한 지 2-3일 정도의 어린것들을 업고 나가서 물 환경에 익숙시키고 물고기를 잡아 먹입니다. 아직 어려서 ~~~ 엄마 품을 더 좋아하는 시기입니다. 새끼들의 안전을 위하여 가까이 오질않고 ... 이날 바람까지 있었네요~~~ ↓ 이들의 친구 "물닭" 입니다. ↓ 논병아리입니다. 사진 : 21. 04, 06 일월저수지에서 ~~~ 더보기
'민물가마우지'의 메기사냥 (2) # 1 '민물가마우지'의 메기 사냥 장면 ~~~ 한번 더 올립니다. 귀한장면 같아서요~~~ 스릴 넘치는 순간이었고요~~~ 메기도 이렇게 큰 건 처음 봅니다. ㅎ #2 제 부근에서 낚시를 하던 분이 커다란 '잉어' 한마리를 걸었습니다. 어렵게 물가에까지 끌고 왔으나 ~~~ 최종 잡는데는 실패하였습니다. 너무 커고 ... 힘이 좋아서 ... 감당할 수가 없겠더라고요~~~ #3 지역내에서 숭어들이 가끔씩 점프를 합니다. 순간포착에 겨우 성공한 전과물 입니다. ㅎ 사진 : 21. 03. 08 한강에서 ~~~ 더보기
말똥가리, 찌르레기, 방울새 서산지역 출사 시 ~~~ 지나다가 길거리에 차를 세우고 찍은 새들의 모습입니다. 1. 말똥가리 2. 찌르레기 : 여름철새인데 벌써 왔네요~ 3. 방울새 4. 행담도를 지나며... 서해대교 사진 : 21. 03. 08 서산에서 ~~~ 더보기
'민물가마우지'의 메기사냥 이 '민물가마우지'는.... 물고기를 잡아서 그냥 삼키는데.. 어찌 맛을 알까? 숭어와 잉어가 득실 거리는 이 곳에서도 .. 대부분의 가마우지가 '메기'만을 잡아 먹는다. 물론 메기가 있으니까 잡겠지마는 ~~ 메기의 맛을 알고 골라 잡는 것으로 생각되기에 갖는 의문이다. # 1 # 2 사진 : 21. 03. 15 한강에서 ~~~ 더보기
황새[Oriental White Stork] 이야기 황새[Oriental White Stork] 분류 : 황새목 황새과의 조류 학명 : Ciconia boyciana 지난 1971년 충북 음성에서 한쌍이 마지막으로 발견됐으나 밀렵꾼의 총에 맞아 죽었으므로 이 땅에서 황새를 볼 수 없게 된 후 ~~~ "이 땅에 다시 황새가 날아 다니게 하자"는 취지로 25년 전인 1996. 8월에 "한국 황새 복원 연구센터"가 한국 교원대학에서 문을 열었습니다. 그 후 온갖 노력을 경주하여 현제 약 200마리 이상의 황새를 확보하여 일부 방사하였지만.... 평소 만나기 쉽지 않다가 이곳 천수만 일대에서 볼수 있다기에 겸사겸사로 가서 이 황새를 보기위해 ..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지만 겨우 한마리 보고 왔습니다. 사진도 좋지 않지만 기록하여 둡니다. 자세한 내용은 2016.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