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 곤충 동물

'흑두루미' 겨울 보내고 떠나다 흑두루미[ Hooded Crane ] 분류 : 두루미목 두루 미과의 조류. 학명 : Grus monacha Temminck, 1835 천연기념물 제228호(1970.11.04)로 지정되었으며 ~~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몸길이 105 cm이다. 시베리아와 우수리강 ·아무르강 일대에서 번식하고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지난해 11월 하순에서 12월 초순에 걸쳐 도래하여 주로 남녁에서 분산되어 겨울을 보내고 이제 다시 북녁으로 날아가기 위하여 이곳 천수만 넓은 들에 모였다. 맑고 청명한날 ~~~~ 기류의 흐름을 잘 관찰하여 수일 내 떠날 것이다. ↓ 아래 사진은 인접하여 있던 기러기떼이다 사진 : 21. 03. 09일 서산군 천수만에서 ~~~~ 더보기
귀요미 .. 노랑배진박새 노랑배진박새 분류 : 참새목 박새과의 조류 학명 : Parus venustulus 중국 특산의 조류로 ...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에 소청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는 기록을 보았는데 ~~ 최근에는 여기저기서 자주 발견되는 모양이다. 아마도 기후의 변화 때문이 아닐까? 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도 2018년에 보고 ..두번째 본다. 특히 금년이후로 우리나라에 정착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져 본다. * 머리가 검게 .. 진하게 보이는 것이 숫컷입니다. 사진 : 21. 03. 08 충남 서산에서 ~~~~ 더보기
노랑턱멧새의 갈증 ↓ 노랑턱 맷새 ♂ 사진 : 21. 02. 21 더보기
숭어가 뛰는 이유 1. 쉽지 않은 사진이었습니다. 예년에 찍던 그 시기에.. 그 장소를 갔는데 ~~ 숭어가 몇마리 안 뛰더군요... 숭어가 뛸 때 순간 타이밍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데... 카메라를 돌리는 순간... 타이밍을 놓치기가 일쑤였습니다. 먼길 갔었기에... 우여곡절을 겪으며 촬영한 사진 몇 장 올립니다. ​ 2. "숭어가 뛰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명확하게 알게 된 것은 이번 기회였습니다. "입질의 추억"이란 닉을 가진 전문 낚시꾼의 카페에서 배우고.. 사진도 2장 캡처해 왔습니다. 숭어가 뛰는 그 이유인즉~~~ 이 숭어에 붙어사는 기생충을 털어내기 위함이라네요~~~ 숭어에 붙어서 피를 빨아먹는 이 흡혈 기생충은 ~~ 등각류의 일종인 "오우노코반( Nerocila acuminata)"이라고 합니다. 사진 : 20.. 더보기
탄천의 겨울새 다 떠나가다. 날씨는 맑은데 ~~ 딱히 갈 곳도 마땅치 않아 ~~~ 탄천 산책을 나갔습니다. 물론 망원랜즈를 들고나갔죠 ~~ 겨울새들 마지막으로 인사라도 할 뜻이었는데 ~~~ 탄천에는 그 많던 오리류들 하나도 없더군요~~ 겨울새들 모두 떠나고 나니 ~~~ 텅 빈 하천이 쓸쓸하게 보이네요~~ 겨울철새들이여 ~~~ 안녕~~ 1년후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한다. 뒤돌아 설 무렵에... 비오리 한쌍만이 날아와서 마지막 모습 보여 주더군요~~~ ↓ 비오리 ♂ ↓ 비오리 ♀ ↓ 일광욕 나온 거북 ↓ 잉어 ↓ 붉은머리오목눈이 ↓ 딱새 ♂ 아마도... 강가에 핀 "갯버들"을 보고.... 갈 때가 되었다고 생각했나 봅니다. ㅎ 사진 : 21. 02. 22 탄천에서 ~~~~ 더보기
매화와 동박새 동박새[ japanese white-eye ] 분류 : 참새목 동박새과의 조류. 학명 : Zosterops japonicus 매화꽃 한가지 부여잡고 ... 봄을 재촉하는가? 21. 02, 18 어느 셋트장에서 ~~~ 더보기
생강나무꽃과 동박새 동박새[ japanese white-eye ] 분류 : 참새목 동박새과의 조류. 학명 : Zosterops japonicus 벌써 지나간 추억이 되어 버렸네 ~~~ 모질게도 추웠던 지난 겨울이 .... 21. 02, 18 어느 셋트장에서 ~~~ 더보기
'굴뚝새'의 겨울나기 굴뚝새[wren] 분류 : 참새목 굴뚝새과의 조류 학명 : Troglodytes troglodytes dauricus 우리나라 텃새이다. 약 10cm의 크기로 ..가장 작은 류의 새다. 늘 하천가에서만 주로 보았는데 ~~~ 오늘은 뜻하지 않게 산중에서 만났다. 물이 꽁꽁 얼어서 인가 보다. 커다란 나무를 오르며 먹이를 찾고 있다. 나무껍질 사이의 동면하는 벌레를 찾는 모양이다. 겨울은 추위자체가 아니라 먹이가 문제인듯 ... 한시름 잘 견디어 봄을 맞이하길 ~~~ 사진 : 21. 02. 12 올림픽공원에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