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곤충 동물 썸네일형 리스트형 '뜸부기' 이야기 ... 회색가슴뜸부기(1) 1. 예전에는 우리나라 논에서 흔히 보이던 "뜸부기" 분류 : 두루미목 뜸부기과의 조류 학명 : Gallicrex cinerea cinerea (GMELIN.) "뜸북 뜸북 뜸부기 ~~ 논에서 울고 ~~" 이렇게 동요로 노래를 불렀던 새... 우리나라 전역에서 번식을 하는 ~~~ 매년 찾아오는 여름철새였는데 .... 약 40cm 정도의 크기로 고기맛이 좋을 뿐 아니라 ~~~ 정력에 좋다는 소문까지 더하여 ... 보이는데로 마구 포획하여 잡아먹었다 네요. 뒤늦게... 천연기념물 제446호(2005. 03. 17 지정)로 지정까지 하며.. 보호하려 했지만 ~~~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의 귀한 새가 되었답니다. 사진 1 자료화면 뜸부기 사진2 자료화면 뜸부기 우표 2. 매년 겨울이 되면 "나그네새"로 어.. 더보기 '직박구리'와 '검은이마직박구리' 이곳 산수유나무 열매는... 이 직박구리가 절반 이상을 따먹는것 같다. 겁도 없고 .. 체면도.. 양보도 없다. 어쩌다가 한번씩 보이는 "검은 이마 직박구리"는 아직도 낯가림이 심하네~~~~ ↓ 검은이마 직박구리 사진 : 21. 01. 11 올림픽공원에서 ~~~ 더보기 호랑지빠귀 호랑지빠귀[ White's ground thrush ] 분류 : 참새목 지빠귀과의 조류 학명 : Zoothera dauma 몸길이 약 29.5cm로 제법 크다. 동남아 지역에서 날아와 ~~우리나라에서 번식을 하는... 여름새로 분류하는데 ... 그냥 눌러 앉아서 ... 겨울을 나느라 고생한다. 사람을 별로 겁을 내지 않아 가까이 닥아 갈 수가 있네~~~ 사진 : 21. 01. 11일 올림픽공원에서 ~~~ 더보기 '흰배지빠귀'와 '노랑지빠귀' 1. 흰배지빠귀[ pale thrush ] 분류 : 참새목 지빠귀과의 조류 학명 : Turdus pallidus 자료에는 대부분 여름새로 기록하고 있는데 ... 이 엄동 설한에 많이 보이느것을 보니 점점 텃새화 되어 가는 모양이다. 다른 지빠귀류 보다 경계심이 강한것 같다. 2. 노랑지빠귀[ dusky thrush ] 분류 : 참새목 지빠귀과의 조류 학명 : Turdus naumanni 개똥지빠귀와 같이 ... 대표적인 겨울 철새이다. 사진 : 21. 01 11일 올림픽공원에서 ~~~~ 더보기 까치와 참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텃새"입니다. 예쁘서 모셔 왔습니다. 까치는 특이하게도 발가락 사이에 끼워서 .. 씨를 빼고 먹네요 사람들도 산수유 씨는 안 먹죠~~ 대부분의 새들은 그냥 삼키는데 .. 어찌 알고 어렵게 어렵게 씨를 빼는지 궁금합니다. 참새는 산수유 열매를 안먹더군요,,, 웅크리고 앉아 있는 모습이 귀여워서요~~~ 사진 : 21. 01. 04 일 ~~~ 더보기 개똥지빠귀 천명 위복(賤名爲福) 이란 말이 있습니다. 아이에게 천한 이름을 지어 주어야 ... 귀신이 범접하지 못하고 .. 복 받으며 오래 산다는 이야기랍니다. 그래서... 예전엔 "개똥이"라 부르던 아이들이 많았습니다. 고종임금의 아명도 "개똥이" 였다는 기록도 있구요~~ 지금 보면 ... "개똥철학"이었는데요~~ ㅎ 개똥벌레.. 개똥지빠귀.. 개똥쑥... 모두 정겹게 들리는 이유 같습니다. 개똥지빠귀[dusky thrush] 분류 : 참새목 지빠귀과의 조류 학명 : Turdus naumanni eunomus 사진 : 21. 01. 05 올림픽 공원에서 ~~~ 더보기 물먹는 밀화부리 밀화부리[ yellow-billed grosbeak ] 분류 : 참새목 되새과의 조류. 학명 : Eophona migratoria 노란 부리가 마치 밀랍으로 만들어진 것 같아 " 蜜花부리" 란 이름을 얻었단다. 요즈음 한창 아름답게 보인다. 몇년전에는... 5월에 육추 장면도 보았는데... 일부는 텃새화 되어 가는것 같다. 게걸스럽게 산수유 열매를 포식하더니 ~~ 물가를 찾아 온다. ♂ ♀ 사진 : 21. 01. 05 올림픽공원에서 더보기 처음 만난 ... '붉은가슴흰꼬리딱새' 붉은가슴흰꼬리딱새 분류 : 참새목 솔딱새과 학명 : Ficedula parva 러시아 동유럽 일대에서 번식하고... 인도, 파키스탄, 중국 등에서 월동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2003년 어청도에서.. 2006년 전남 홍도에서 관찰된 이후로 "나그네새"로 분류된 희귀한 새로 알려져 있답니다. 우리의 텃새인 딱새보다 조금 작은 듯 하나.. 땅에 내려와 무엇인가 하나 물고 부근 나무로 포로 록 올라가는 모습은.. 딱새의 습성 그대로 더군요~~ 처음 보는 ~~ 귀여운 새였습니다. 검색을 해 봐도 특이한 자료도 없네요~~~ ㅠㅠ 사진 : 21. 01. 03일 안산에서 ~~~ 더보기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