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곤충 동물 썸네일형 리스트형 엄동설한에 만나는 '후투티' 후투티(Hoopoe) 분류 : 후투티 목 후투티과의 조류. 학명 : Upupa epops saturata 외모도 .. 이름도.. 좀 특이합니다. 한국 이름 "후투티"는.. "후훗~~" 하고 우는 울음소리를 따라 1950년에 서울대 남태경교수에 의하여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이명(異名)으로 ... 머리깃(우관(羽冠))이 크고 아름다워 마치 인디언추장의 머리와 같다고 하여 "추장 새"라고도 부르며... 뽕나무밭에 많이 모여 삶으로 "오디새"라 불리기도 한답니다. 봄철 한반도에 도래하여 여름을 지내는(4~9월) 여름철새 였는데 ... 지난해 일산에서 육추 하는 모습을 보였고 ... 이 엄동 설한에 안산에서 보았습니다. 아래 "동영상"은 먹이를 잡아먹는 모습입니다. 여러 벌레를 잡아 먹기는 하나... 성장 기간에.. 더보기 다시만난 '호랑지빠귀' 호랑지빠귀 분류 : 참새목 지빠귀과의 조류 학명 : Zoothera dauma 몸길이 약 29.5cm 란다. 우리나라에서 새끼를 낳아 기르는 여름철새로.. 겨울에는 중국 남부나 타이완·필리핀·동남아시아 등지로 내려가 겨울을 난다는데 ... 아마도 이곳에서 월동을 할 모양이다. 추위보다는 먹이가 걱정일 텐데... 이곳에 널부러진 산수유 열매를 보고 자신감을 얻었는지 모르겠다. ㅎ 다른 분의 말씀으로는 4마리가 있다던데 ~~ 늘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고는 한다. 사진 : 20. 12, 28 올림픽공원에서... 더보기 겨울새의 아이콘 ..상모(象毛)솔새 다른 새를 추적하다가... 높은 소나무 꼭데기에서 "상모솔새"를 발견했습니다. 한동안 씨름 했지만 ~~ 사진은 안 좋네요~ 그래도 버리기는 아깝습니다. 상모(象毛)솔새(goldcrest) 분류 : 참새목 상모솔새과의 조류 학명 : Regulus regulus 정수리에 노란선이 특징으로 우리나라에선 농악대가 머리 위에서 돌리는 상모(象毛)로 보았고 ~~ 학명은 "레굴루스(regulus)"인데 ... 이는 "작은 왕" /작은 "왕자"를 의미하는 라틴어랍니다. 도감에는 크기 9cm .. 체중 5g..으로 기록되어 있네요 우리나라에서 볼수 있는 가장 작은 새에 속할 것 같습니다. 북구, 시베리아의 추위를 피해 내려온.. 극소수의 겨울새 라고 합니다. 노르웨이의 조류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보면... 특별한 신체 .. 더보기 처음만난 .. '검은이마직박구리' 검은 이마 직박구리[ Light-vented Bulbul ] 분류 : 참새목 직박구리과의 조류 학명 : Pycnonotus sinensis 처음 만나보는 새(鳥)다. 중국남부, 베트남, 대만, 류큐 섬 등 아열대성 기후에 분포하는 새란다.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안 섬지방에서 일부 관찰되어 왔으나... 최근 서울지방에서도 관찰되며... 관찰되는 횟수와 수량도 늘어난다고 한다. 매우 드문 "나그네새"로 분류해 오다가.... 이제는 우리나라 텃새로 전환되어가는 추세란다. 우리나라 기후도 아열대성 기후로 변해 가듯이 ~~~ 비교를 위해 ~~~ 이날 찍은 "직박구리"사진한장 ↓ * 처음 만나보는 새여서 기분 좋은 하루였다 사진 : 20. 12. 28일 올림픽 공원에서 ~~~~ 더보기 탄천의 새들 집에서 가까운 거리어서 맑은 날... 무료할 때 찾아가는 곳 ~~~ 여러 새들을 만났지만 ... 늘 보던 새여서 ~~ 일괄 정리하여 둡니다. 청딱따구리( ♂ ) ↓ 딱따구리류는 모두 수컷 정수리에 빨간 점이 있습니다. 흰뺨검둥오리 ↓ 비오리 ♀ ↓ 비오리 ♂ ↓ 민물가마우지 ♂ "번식깃" ↓ 머리와 목부분에 흰깃이 새로 났습니다. 봄철 번식기때 암컷에게 잘 보이려고 나는 것인데 벌써 났네요~~~ 이를 "번식 깃"이라 합니다. 번식기가 지나면 없어 집니다. 백로와 쇠백로 ↓ 논병아리 ↓ 곤줄박이 ↓ 원앙 ↓ 청동오리 부부.. ↓ 우측 초록색이 수컷입니다. 백할미새 ↓ 흰목물떼새 .. ↓ 늘 자갈밭에서만 보입니다. 위장술이죠~~ 사진 : 20. 12. 25 탄천에서 ~~~ 더보기 밀화부리[ yellow-billed grosbeak ] 밀화부리[ yellow-billed grosbeak ] 분류 : 참새목 되새과의 조류. 학명 : Eophona migratoria 매년 이맘때면 ~~ 이새를 보기위해 올림픽공원을 가고는 했다. 올해는 아직 많이 오지 않은 듯 ~~ 암수의 외모가 뚜렷이 차이가 난다. 수컷은 머리가 짙은 "암청색"이고.. 암컷의 머리는 옅은 "회갈색"이다. 사진 몇장 내려놓습니다. ↓ 밀화부리 암컷 입니다. ↓ 우연히 만난 "붉은목지빠귀"는 덤으로 얻었네요~~~ 사진 : 20. 12. 26일 올림픽공원에서 ~~~~ 더보기 원앙과 굴뚝새 원앙[ mandarin duck , 鴛鴦 ] 분류 :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 학명 : Aix galericulata 천연기념물 제327호로 지정됨(1982년 11월 16일) 굴뚝새(wren) 분류 : 참새목 굴뚝새과의 조류 학명 : Troglodytes troglodyes 몸길이 약 10cm 번식 형태는 일부다처제 ... 수컷은 여러개의 둥지를 만들어 놓고 노랫소리로 암컷을 유인한단다. 암컷이 둥지 안으로 들어오면 짝을 맺게 되고 이후부터 모든 번식활동은 암컷이 맡아 진행한다네요~~~. 사진 : 20. 12, 25 탄천에서 ~~ 더보기 "민물가마우지"의 만행 언제부터인가.. "민물가마우지"가 엄청 많아졌습니다. 중국 동북 3성이 주서식지 였는데.... 겨울 철새로 날아와... 돌아가지를 않기 때문 이랍니다. 제 경험으로는 약 10년이 넘은것 같습니다. 바다에 사는 "가마우지"와 비슷 하면서도 내륙 민물에 살기에 "민물가마우지"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웬만한 강, 호수, 심지어는 한강까지 점령 하였습니다. 이들이 점령한 지역 일대는 그들 배설물의 강한 산성으로 인하여 나무들이 모두 죽게 됩니다. 닥치는데로 물고기를 엄청 잡아먹으며... 전국 곳곳에서 이들로 인한 피해소식이 뉴스를 통해 보도 되기도 했습니다. 대부분의 새들은 자연환경의 소중한 자산인데 반하여.. 이 "민물가마우지"는 생태계의 천적이 되었습니다. 다른 조류들에게도 폭력을 행사 합니다. 여기 제 블로.. 더보기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