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 곤충 동물

꾀꼬리의 육추 [동영상] 꾀꼬리[ Chinese oriole] 분류 : 참새목 꾀꼬리과의 새 학명 : Oriolus chinensis 포란 기간을 거쳐... 부화했다는 이야기 들은 지 꽤 되었는데.... 이제 겨우 얼굴이 보이고.. 눈도 떴다. 촬영장에서 들리는 말에 의하면 ~~~ 새끼 네 마리 중 한 마리는 까치가 물고 갔단다. 이런 ~~~ 약육강식의 생태계를 실감한다. 어미새가 열심히 먹이를 물어 나르고 정성껏 돌보고 있다. 무사히 잘 길러서 모두 튼튼하게 이소 하길 바랄 뿐이다. 사진 : 2020. 06. 22일 아침에 ~~~ 더보기
처음 만난 "대륙검은지빠귀" 분류 : 참새목 지빠귀과의 조류 학명 : Turdus merula Linnaeus, 1758 전 세계적으로 두루 서식하는 새이긴 하나 ~~ 우리나라 입장에서보면 "나그네새"로 분류를 한답니다. 아주 더물게 ~~ 불 규칙적으로~~ 소수가 찾아오기 때문이죠 ~~ 그럼에도 이넘들의 육추 장면을 볼 수 있었던 건 행운이네요~~~ 키 큰 계수나무 중턱에 둥지를 틀었는데 ... 빛이 아쉬운 점은 있었죠~~~ 국내에 도래하는 지빠귀류 중에서는 가장 크며 몸길이는 25 cm 내외~~ 암수가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 검은 깃털과 귤색의 부리와 눈테를 하고 있으며... 다리는 흑갈색이다. 어미는 먹이를 먹인 다음에... 아이들의 변을 받아 물고 역시 먼 곳에 갔다 버리는데... 엄마의 고통을 이해하는 듯 ... 비닐봉.. 더보기
곤충들 ... 6월초 ~~ 연일 날씨가 무척 덥다. 오전중 잠간 둘러보면서 만난 곤충들이다. 곤충의 이름도 어찌나 세분 되던지 ~~ 마지막 분류는 내 실력으로는 어렵다. 중간 분류 까지만으로 만족 해야겠다. 따라서 학명은 생략할수 밖에....ㅎ 1. 꽃등에 : 파리목[雙翅目] 꽃등에과의 곤충. 2. 각다귀 : 파리목 각다귀괴의 곤충 3. 홍줄노린재 : 노린재목 노린재과의 곤충. 4. 베치레잠자리 : 잠자리목 잠자리과의 곤충. 5.호랑꽃무지와 산수국 : 딱정벌레목 꽃무지과의 곤충. 6. 어리호박벌과 용머리 : 벌목[膜翅目] 어리호박벌과의 곤충. 7. 밀잠자리 : 잠자리목 잠자리과의 곤충 8. 파리매 : 파리목 파리매과의 곤충 9. 중국청남색잎벌레 : 딱정벌레목 잎벌레과의 곤충 사진 : 20. 06. 10 신구대학 식물원.. 더보기
검은등할미새[ Japanese wagtail ] 분류 : 참새목 참새과의 조류. 학명 : Motacilla grandis 오후 늦게 병원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어울리지 않는 복장으로 오랫만에 탄천으로 향했다. 무슨 사진을 기대 하지는 않았지만 망원 하나 들고... 탄천의 최근 상황을 알아보며... 좀 걷기 위해서다. 하천 양안의 풀이 무성하고 나뭇잎이 많아 새들은 보지 못했다. 곤충들도 아직 보이는 게 별로 없었는데... 걷기가 다 끝날 무렵에 흔치 않은 "검은 등 할미새" 한 마리가 반긴다. 이 새는... 새 이름에서 보듯.. 주로 일본에 분포하고 있는 "할미새"이다. 이중 일부가 중국, 대만, 우리나라에 날아온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온이 비교적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는 겨울을 나기도 하며.. 점차 "텃새"화 되어간다니 반갑다. 몸길이 약 .. 더보기
"하루살이"의 일생 하루살이는 곤충이다. 곤충의 순환주기 인 : 알→ 유충 → 번데기 → 성충과정을 다 겪는다. 유충인 상태로 물속에서 오래기간(1년-3년)을 살다가 성충이 되면서 입이 퇴화한단다. 입이 없으니 먹을수도 없고 .. 내장기관도 없이 태어 난단다. 성충으로는 대부분 하루만 사는데 ~~임무는 .. 오직 ~ 번식 ~~~ 이 기간내에 짝짖기를 해야 하고 .. 암컷은 알을 낳는것이 일생의 임무란다. 하루살이가 떼지어 몰려 다니는건 짝을 찾기 위함이란다. 하루만에 성공하지 못하면 2-3일까지도 산단다. 위의 사진은 팅크벨(동양하루살이)이다. 5월 한달 ... 남양주 덕소 일대에 ~~ 이 하루살이 대란 소동이 있었다. 특히 야간에 불빛에 모여드는 수가 엄청 많아서 모두가 겁을 냈단다. 구리시청에서는 대책반을 구성하여 코로.. 더보기
인공둥지에서의 "박새" 육추 분류 : 참새목 박새과의 조류. 학명 : Parus major 박새는 참새만한 크기의 우리나라 "텃새"다. 사람이 만들어 매달아준 둥지에서 육추를 하고 있으니 사람과 조류의 공감이 느껴져서 더욱 정겹다. 더불어 함께 산다는 또 다른 행복감이다. 이제 곧 이소할때가 다 되었네~~~ 사진 : 20. 05. 31 미사리 경정공원에서.... 더보기
백로(白鷺)는 아직 "포란"중 ... 분류 : 황새목 백로과의 조류. 학명 : Egretta alba modesta 백로(白鷺)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러 ~~~ 먼길 출사에 동참 했는데 ... 아직 포란 중이더군요... 처음 가보는 곳이었는데 ... 몇 그루의 나무가 하얗더라고요~~ 둥지를 만드는 새 ~~ 알을 품고 있는 새 ~~ 간혹 어린 새끼를 데리고 있는 새~~ 아름다운 육추의 모습은 없었지만 ~~ 눈에 보였던 모습 이것저것.. 늘어놓습니다. 사진 : 20. 05. 27일 경북 김천 어모면 구례 3리에서 ~~~~ 더보기
아물쇠딱따구리의 육추(育雛) 분류 : 딱따구리목 딱따구리과의 조류. 학명 : Dendrocopos canicapillus 몸길이 약 14cm ~~ 참새만한 크기로 "쇠딱따구리"로 분류 한다.아무르(Amur, 흑룡)강 유역에 많이 분포하여 "Amur 쇠딱따구리" ⇒ "아물쇠딱따구리"로 이름이 붙여졌다. 금년 02.20일에 처음 보았었는데 ~~ 오늘 또 육추(育雛) 모습을 보게 된다.빠르게 나타나서 ... 먹이를 전해 먹이고 ...또 금방 날아가서 사진찍는 재미는 별로다. 우리나라 중부이북에서 보이는 흔하지 않은 텃새 ~~~귀한새를 만났다는게 큰 의미다.                    사진 : 20. 05. 25 일산 호수 공원에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