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할미새

황금물결 창밖으로 보이는 아침 빛이 너무 맑고 좋다. 오늘 외출할 계획이 있지만 .. 잠시 탄천으로 나가 보았다. 황금 물결이 눈부시다. 먹이활동을 하는 철새들도 정겹다. ↓ 백할미새 ↓ 흰뺨검둥오리 ↓ 백로 사진 : 21. 11. 23 이른 아침 탄천에서 ~~~~ 더보기
탄천에서 본 계절의 변화 ~~ 며칠 전부터 아침 기온이 뚝 떨어졌습니다. 어제는 최초로 영하의 기온을 보였고 오늘은 영상 5도 정도였습니다. 오전에 탄천으로 산책길을 바꾸어 겨울철새들의 동정을 살펴 보러 나갔습니다. 산책 나온 사람들도 겨울옷으로 모두 갈아입었더군요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당황하는 모습을 먼저 보게 되었습니다. # 1. 추위에 떠는 ... 처음 보는 나비 한 마리... 날씨가 쌀쌀하여 힘없이 날아와 날개를 확짝펴고 빛을 더 많이 받으려 하더군요~~ 암고운부전나비(암컷)라고 고수님이 알려 주더군요 분류 : 나비목[鱗翅目] 부전나비과의 곤충. 학명 : Thecla betulae 앞날개 중앙과 꼬리모양 돌기에 주황색 무늬가 동정 포인터 같습니다. 연 1회 발생하고 6∼7월에 나타나며... 여름잠을 자고 ... 요즈음 산란도 .. 더보기
탄천의 새들 집에서 가까운 거리어서 맑은 날... 무료할 때 찾아가는 곳 ~~~ 여러 새들을 만났지만 ... 늘 보던 새여서 ~~ 일괄 정리하여 둡니다. 청딱따구리( ♂ ) ↓ 딱따구리류는 모두 수컷 정수리에 빨간 점이 있습니다. 흰뺨검둥오리 ↓ 비오리 ♀ ↓ 비오리 ♂ ↓ 민물가마우지 ♂ "번식깃" ↓ 머리와 목부분에 흰깃이 새로 났습니다. 봄철 번식기때 암컷에게 잘 보이려고 나는 것인데 벌써 났네요~~~ 이를 "번식 깃"이라 합니다. 번식기가 지나면 없어 집니다. 백로와 쇠백로 ↓ 논병아리 ↓ 곤줄박이 ↓ 원앙 ↓ 청동오리 부부.. ↓ 우측 초록색이 수컷입니다. 백할미새 ↓ 흰목물떼새 .. ↓ 늘 자갈밭에서만 보입니다. 위장술이죠~~ 사진 : 20. 12. 25 탄천에서 ~~~ 더보기
고니와 청동오리 퇴촌을 갔다가... 상황이 여의치 못하여 ~~ 팔당대교 아래 고니(백조)를 보러 갔습니다. 이곳도 상황이 좋지가 않더군요 고니 20-30마리가 물가에 웅크리고 있었고 청둥오리 50여 마리가 함께 있더라고요~~ 영하 7-8도의 기온에 강바람까지 있어 더 많은 시간을 기다리지 못했습니다. 촬영 흔적 남깁니다. 고니 일가족 ~~ 뒤에 부리가 노란것이 어미... 그 앞에 부리가 희게 보이는 3마리가 금년 태생의 고니 유조 오가는 조그마한 새들 ~~~ 특히 "물총새"가 애처롭게 보입니다. 여름철새인데 ~~ 따뜻한 남쪽 고향으로 가지 않고, 우리나라 텃새로 완전 이주했나 봅니다. 이 영하의 날씨에 이곳저곳을 옮겨 다니며.. 호버링(정지비행)까지 하며... 먹이를 찾고 있더군요~~ 그 외에도 주변 에서 보였던 새들... 더보기
찬조출연한 귀요미들 ... 물수리를 기다리는 시간에 ... 막간을 이용하여 찬조출연한 귀요미들 ~~~ 이들이 있었기에 ... 지루한 시간을 보낼수 있었던것 같다. ↓↓ 백할미새 ↓↓ 가마우지 ↓↓ 때까치 ↓↓ 검은등할미새 사진 : 20. 10. 31일 강원도 남대천에서 ~~~ 더보기
'검은등할미새'와 '백할미새'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할미새는 12종 이란다.. 모두 강가의 귀요미 들이다. 모든 할미새는 앉으면 꼬리를 위 아래로 흔드는 습성이 있다. 그래서 영명으로는 Wagtail 로 불리고.. 우리나라에서는 "할미새"로 불린다. 꼬리를 흔든다는 의미로 흔들"할" 꼬리"미" 자를 쓴다는데~~~ 흔들"할"자의 한문 글씨를 모르겠다 ~~ㅠㅠ 1. 검은등할미새[ Japanese Wagtail ] 분류 : 참새목 할미새과의 조류 학명 : Motacilla grandis 2. 백할미새[ white wagtail ] 분류 : 참새목 할미새과의 조류. 학명 : Motacilla lugens 사진 : 2020. 10. 11일 분당 탄천에서 ~~~ 더보기
검은등할미새와 백할미새 "검은등할미새"와 "백할미새"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할미새는 12종인데 .. 여름새와 겨울새로 구분되나 일부는 더물게 텃새로 자리를 잡아간다. 모든 할미새는 앉으면 꼬리를 위 아래로 흔드는 습성이 있다. 그래서 영명으로는 Wagtail 로 불리고.. 우리나라에서는 할미새로 불린다. 꼬리를 .. 더보기
황구지천의 새들 황구지천[黃口池川] 의 새들 오리류는 많이 있었지만 ... 별로 찍고 싶지 않았고 ... 아래 새들은 크기가 너무 작을뿐만 아니라 촬영거리가 너무 멀었다 ~~ 1. 알락할미새[ white wagtail ] 분류 : 참새목 참새과의 조류. 학명 : Motacilla alba 눈썹선이 없다 여름철새이다. 그러나 이넘은 우리나라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