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유사진

창덕궁(昌德宮)의 가을 창덕궁(昌德宮)은 자연과 조화를 이룬  가장 한국적인 궁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궁이다. 창덕궁(昌德宮)은 1405년(태종 5) 법궁인 경복궁의 이궁(離宮)으로 창건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 궁궐 중 처음으로 다시 지어졌으며  이후 역대 왕들이 1867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약 270여년 동안  창덕궁을 더 많이 사용하여 실질적인 법궁의 역할을 하였다. *    이날 ... 내국인 보다 외국인들을 더 많이 만난것 같다.                                      사진 : 2024. 11. 06   창덕궁과 춘당지에서 ~~~~ 더보기
오랫만에 "물향기 수목윈"을 ~~~ 오랜만에 "물향기 수목원"을 가 보았습니다. 가을 단풍시즌에 ... 날씨 맑음... 일요일이었기에 ~~~ 방문객들이 참 많았습니다. 특히 저에게는 하늘의 "흰구름"이  가장 반갑더라구요~~ 전혀 예측을 하지못한 사항이었거든요~~ 정말 즐거운 마음으로 한바퀴 돌아보고 왔습니다.                           ↑      백정화(Serissa japonica (Thunb.) Thunb.)학명 : Serissa japonica (Thunb.) Thunb.                 사진 : 2024. 11. 03일 오후에...  물향기 수목원에서 ~ 더보기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 ... 광릉(光陵) 봉선사에서 나와 ...데크길 "광릉숲길"을 걷습니다.이 지역은 도로도 협소하고 .. 인도도 없었는데  데크길로  수목원까지 잘 만들어 놓았네요~~~약 2.5 km 정도 걸어 "광릉"에 도착 했습니다.       "광릉(光陵)은 조선 제7대 왕 세조(世祖 1417~1468, 재위 1455∼1468)와  세조의 원비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1418∼1483)의 무덤 이죠 ~~  1468년(예종 즉위)에 "세조"가 수강궁에서 세상을 떠나고,   지금 자리에 묻혀 "광릉(光陵)"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 후 1483년(성종 14)에 세조의 원비 정희왕후 윤씨가 온양 행궁에서 세상을 떠난후    광릉 동쪽 언덕에 "정희왕후의 능"이 조성되었죠.... 조선 왕릉 최초로 왕과 왕비의 능을 서로 다른 언덕 위에 따.. 더보기
교종 본찰의 ... 봉선사(奉先寺) "봉선사"는 서기 969년 고려 광종 20년에... "법인 국사"께서 창건하고 "운악사"라고 하였답니다. 그 후 서기 1469년, 조선 예종 1년에 ...  "세조의 비 정희왕후"가 세조의 능침을 이산에 모시고는 "광릉"이라 하고,이 자리에 폐허가 되었던 절을 새로 고쳐  짖고  ... 선왕 능침의 명복을 비는 자복사로 삼고 "봉선사(奉先寺)"라 하였답니다. 그후 ~~~ ​ "봉선사(奉先寺)" 는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한국전쟁 때도 거듭 병화를 입는 비운을 겪습니다. 낭혜대사(1539년)의 뒤를 이어 계민선사(1637년)가 중건하고,  1749년과 1848년에 다시 중수해 고아하고 장중한 대찰의 면모를 되찾았으나  오늘의 봉선사는1960년 무렵부터 재건불사를 일으킨 가람의 모습입니다.            .. 더보기
"제1회 서울조각상" 결선 진출작 발표 조계사 국화꽃을 보고 나오다가  길목에 있는 안국역 옆의 "송현공원"을 잠시 둘러보았습니다. 서울시에서  '제1회 서울조각상' 결선 진출작을  이곳에 전시하여 시민 의견을 듣겠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죠...  '경계 없게, 낯설게'를 주제로  그동안 국·내외에서 발표된 적 없는 신작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했답니다. 총 108건의 작품을 받아 심사위원회의에서.. 1차 서류 심사를 거쳐  2차 심층 인터뷰를 통해 결선 진출작 10개 작품을  추렸답니다. 이 10개 선발된 작품을 이곳 송현공원에 진열하여  시민에게 공개됨과 동시에  결선 심사는 심사위웜 50%, 시민의견 50% 로 최 우수작을 선정한단다. 대상작은 포상과 더불어  "노을조각공원"으로 이동해 5년간 전시된다고 합니다.최종 심사대상작 10개 작.. 더보기
제7회 서울 아프리카 페스티벌 반포 한강공원에 마련된 특설무대에서... 24.10.12일(토)   오후 1시부터 저녁 7시 30분까지 진행되는 무대공연은~~~  1부  2부  3부  4부 까지 총 4부로 구성되었습니다. 그중 3부에서   "Raya님의 춤사위 사진"입니다. 몇 장만 찍으려 했는데....사진을 찍으면서 매료되어 많은 사진을 촬영했습니다. 이럴 줄 알았으면 "동영상"이었어야 했는데...                                              이후 ~~~ 패션쇼를 보지 못한 아쉬움이 남습니다.  사진 :  2024 반포 한강공원에서 "서울아프리카페스티벌" 중에서 ~~~ 더보기
아름답게 꾸며진 ... "백월산 금선사"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에 있는 사찰을 찾았습니다. 이 사찰을 이해하기 위하여  많은 검색을 해 보았지만 공식적인 자료는 하나도 없고  현장 60,000평의 사찰 부지에는 여러 조형물이 있었는데.. 어느 것 하나 설명판이 없습니다. 대원본전, 교각 전 겸 요사채, 약사전, 봉산당, 삼성각 등 6개의 전각만이 있네요 건물에는 사찰 특유의 단청 채색도 없고 ...  조그마한 설명 간판마저도  전혀 없습니다. 어느 분의 블로그에 ~~ 1988년 창종하고 석가모니불을 교조로...  태고보우국사를 종조로 하는 "일붕선교종(一鵬禪敎宗)"의 사찰로 홍산주지스님이 창건 했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 ~~~ 맞는 내용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창건을 시작한지 거의 30년이 되었는데.... 스님도 안 보이고 ... 소속된 불.. 더보기
동굴테마파크 ...광명동굴 1912년 일제가 자원수탈을 목적으로 개발을 시작한 광명동굴(구.시흥광산)은  일제강점기 징용과 수탈의 현장이자  해방 후 근대화ㆍ산업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산업유산입니다.  금, 은, 동, 아연등을  채굴 하다가  1972년 폐광된 후 40여 년간 새우젓 창고로 쓰이며  잠들어 있던 광명동굴을 2011년 광명시가 매입하여  역사ㆍ문화 관광명소로 탈바꿈시켰습니다.  광명동굴은 산업유산으로서의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결합된  대한민국 최고의 동굴테마파크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연간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세계가 놀란 폐광의 기적을 이루었습니다.           광명동굴에 둥지를 튼 .. 신비한 용의 이름이 "동굴의 제왕"  입니다.   ‘용’ 조형물은 크기 41m, 무게 801kg의 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