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 곤충 동물

'호랑[虎狼]거미' 의 지혜 호랑[虎狼] 거미 분류 : 거미 목 왕거미과의 절지동물. 학명 : Argiope amoena 호랑거미는 거미줄 중간에 MNVW 문자 같은 무늬를 새겨둔다 왜 일까요~~~??? 이 무늬가 무슨 기능을 하는지를 둘러싸고 과학자들은 크게 두 가지 가설로 맞섰다. 하나는 큰 동물이 지나가다 그물을 망가뜨리지 못하도록 경고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고 ... 다른 하나는 먹이 곤충을 유인하는 구실을 한다는 것이었다. 최근 첫 번째 가설에 힘을 실어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엘레노 케이브스 미국 듀크대 생물학자 등 미국 연구자들은 과학저널 ‘생태학 및 진화 동향’에 실린 리뷰 논문에서 곤충, 조류, 포유류, 어류 등 동물 600종의 시력을 비교했다. 그 결과, 새(조류)들은 2m 밖에서도 거미줄의 지그재그 무늬를 감지.. 더보기
광교 아쿠아플라넷(Aqua Planet)...(1) 연일 비 오고 흐립니다. 계속되는 장마철에 집에만 있기도 힘들어 어디론가 실내 출사라도 가 보고 싶었습니다. 먼저, "국랍중앙박물관"의 "어느 수집가의 초대"전을 가 볼까? 했는데 ~~~ 입장권 매표가 쉽지 않더군요~~ 대안으로 생각한것이 ... 수원에 있는 "아쿠아플라넷(Aqua Planet)광교" 였습니다. 아침 일찍 개장시간에 맞추어 갔는데... 이곳 역시 표를 사기 위하여 서 있는 줄이 여간 긴게 아니었습니다. 일요일이라서? 그렇까? 내가 굳이 이런날 관람을 해야 할까? 사진도 제대로 못 찍겠는걸 ~~라고 생각하며 망설이다가 결국 매표를 하고 들어 갔습니다. 다른곳에 비하여 규모는 좀 작더군요~~ 사람들이 너무 많이 붐볐습니다. 사진을 찍기 위하여 왔는데 ~~~~ 마음데로 화각을 잡기에도 어려움이.. 더보기
'일본납작진딧물'을 육식하며 살아가는 ... "바둑돌부전나비" "바둑돌부전나비[ forest pierrot ]" 분류 : 나비목[鱗翅目] 부전 나비과의 곤충. 학명 : Taraka hamada 연일 비가 내리는 장마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출사 나가기도 쉽지 않아 ... 컴 속의 사진 창고를 뒤지다가 ~~~ "바둑돌 부전나비"를 선택했습니다. 1차 07월 21일에 이 나비를 처음 보고 포스팅을 한 4일후에 또다시 가서 촬영한 사진들입니다. 오늘 본 나비를 내일 본다는것도 확실치 않은데.... 금년에 보았다고 내년에 다시 본다는 보장도 없기에 ~~~ 한 번 더 갔었답니다. 나비가 완전 "육식(肉食)"을 한다는 사실도 신기하고... "일본납작진딧물"도 처음 보고 알았습니다. 이 나비는 ~~~ 애벌레 때는 "일본납작진딧물"을 잡아먹고... 성충이 되어서는 이 "납작진딧물의.. 더보기
큰주홍부전나비 ... 큰주홍부전나비 분류 : 부전나비과의 곤충 학명 :Lycaena dispar 암수 두마리가 보입니다. 깨끗한 상태인걸 보니..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것 같습니다. 나비의 윗면이 붉게 보이는것이 "수컷"이며.. 검은 점무늬가 많은것이 "암컷" 이랍니다. 냇가나 무덤가, 논, 밭 주변의 풀밭 양지바른 곳을 좋아하며, 개망초와 민들레 등의 꽃에서 꿀을 찾습니다. 먹이식물은 "소리쟁이" 구요~~~ ↓ 큰주홍부전나비(수컷) ↓ 큰주홍부전나비(암컷) 사진 : 22. 08. 07 왕송호수에서 ~~~~ 더보기
매미의 울음소리는 "노래" 아닌 "절규"다. 요즈음 밖에 나가면 매미소리 시원합니다. 무더운 날의 청량제 같은 느낌이죠~~~ 하지만 ~~~ 매미의 일생을 알고보면 마냥 즐거운 소리만은 아닌것 같습니다. 매미의 알이 띵 속으로 기어 들어가(1령 애벌레) 나무뿌리의 액을 빨아먹으며 2-5령 애벌레 및 굼벵이 과정을 거치다가... 다시 지상으로 올라와 매미가 되는 우화[羽化]를 하는데 까지 총 5-7년 소요가 된다고 합니다. ↑ 무사히 잘 우화[羽化]한 매미는 이 세상에서 7- 9일간 산다고 합니다. 이 기간은 오직 번식을 하기위한 위한 기간이랍니다. 이 기간에 번식을 하려면... 암수가 만나야 하는데 조물주께서 수컷매미가 자기의 위치를 알리도록 만들어 놓았다네요~~~ 그 위치를 알리는 방법이 소리 내어 우는 거죠~~~ 시원한 나무 그늘에 앚아 노래를 .. 더보기
"남방부전나비"의 짝짖기 과정을 훔쳐보며 ~~~~ 남방부전나비 [ pale grass blue ] 분류 : 나비목 부전나비과의 곤충 학명 : Pseudozizeeria maha 들녁에 나가면... 흔히 보이는 나비지만 ~~~ 오늘 특별한 인연으로 만났습니다. 한쌍이 하늘높이 나르며... 짝짓기를 약속한 듯... 바로 내 앞에 내려 앉으며 거침없이 행동하더군요~~ 카메라를 들고 있는 나에게 .... "혼례 기념사진"이라도 찍어 달라는 듯하여 ~~~ 거절할 수 없었네요 ... ㅎ 나비의 상태도 깨끗하고 .. 빛도 고운 걸로 봐서.. 첫 경험인듯 한데 ... 쉽지 않은 과정이었습니다. 참 묘한 상황이 중간에 일으났습니다. 돌발 상황 ~~ 아니 이럴수가 ~~??? 어떤 사연이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 제3의 나비가 나타나서 "새치기"를 하려 했습니다. 거세게.. 더보기
진딧물을 잡아먹고 사는 "무당벌레" 애홍점박이무당벌레 분류 :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의 곤충. 학명 : Chilocorus kuwanae 무당벌레는 익충(益蟲) 이다. 유충과 성충기간 모두 해충(害蟲)인 "진딧물"을 잡아먹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무당벌레류는 ~~ 색깔과 무늬에 따라서 약 90여 종으로 분류한다. "일본 납작 진딧물"이 있는 곳에 나비를 찍으러 갔더니... 의외로 무당벌레가 많이 보인다. 무당벌레의 식성을 알고 있었기에... 금방 이유를 알았는데... 평소 보지 못했던 무당벌레여서 사진으로 찍어와 이름을 확인해 보니... "애홍점박이무당벌레" 라고 한다. 검은색 몸통에... 옆구리에 조그만한 붉은 무늬 때문에 붙은 이름일 테지 ~~~ 바둑돌 부전나비가 먹는 이 진딧물을 먹으러 온 것이겠지요 ~~~ 바둑돌부전나비가 먹.. 더보기
물 위를 걸어 다니는 ... 소금쟁이[ Water strider ] 소금쟁이[ Water strider ] 분류 : 노린재목[半翅目] 소금쟁이 과의 곤충 학명 : Aquarius paludum insularis 고요한 물위에 파문을 일으키며 ~~ 노니는 모습을 유심히 바라본다. 발에 나 있는 잔털에는 기름 성분이 묻어 있어 물과의 반발작용을 일으켜 물을 퉁기는 역할을 한다. 흔히 표면장력의 예를 설명할 때의 주인공이 된다. 하 ~ 이넘들도 짝짓기 계절인가 보다. 먹이를 물고 있는애들도 있다. 육식성으로... 수면에 떨어진 곤충류를 잡아 그 체액을 빨아먹으며... 죽은 물고기의 체액도 빨아먹는다 몸길이 수컷 11∼14㎜, 암컷 13∼16㎜ 사진 : 22. 07월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