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곤충 동물 썸네일형 리스트형 다시 찾아본 ... 개미잡이[ wryneck ] 개미잡이[ wryneck ] 분류 : 딱따구리과의 조류 학명 : Jynx torquilla chinensis 다시 만나 보기가 쉽지 않은 새(鳥) 여서 ~~~~ 또 한번 찾아 가 보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촬영하러 오셨더군요. 오랜 시간을 기다리다가.. 갈대위에 앉은 모습을 보고 또 우르르 몰려 갔죠~~~ 바람에 흔들거리는 모습도 잠시... 풀 속에서 먹이 활동을 하다가 ~~~ 근처 조그만한 나무에 앉아 하루를 마무리하려는 듯 매무새를 가다듬고 있습니다. "동영상"으로 촬영해 보았습니다. 사진도 몇장 남기고요~~~ 사진 : 22. 09. 30 왕송호수에서 ~~~~ 더보기 시흥 생태 갯골 갯골에도 녹조(綠潮)현상이 생겼네~~~ "청다리도요" 한 마리가.. 다리가 푹푹 빠지면서 먹이 활동을 하는 게 측은하게 보인다. 갯벌지역을 지나는데 조그마한 "게"들이 신출귀몰한다. 이 넘은 "농게 수컷"이다. 한쪽 다리가 엄청 크다. 왼쪽 발이 큰 놈이 있고 .. 오른쪽 발이 큰놈이 있다. 이 넘은 "농게 암컷" ~~~ 크고 긴 다리가 없다. 집을 만들면서 파낸 흙으로 예쁘게 탑을 쌓는 단다. 이 "방(方) 게"는 잔등이 네모꼴로 모가 나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보이지 않는 조그마한 것들이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는 "갯벌 " ~~~~ 또 다른 삶의 현장이다. 사진 : 22. 09. 30 시흥 갯골 생태공원에서 ~~~ 더보기 개미잡이[ wryneck ] ... 더물게 소수가 찾아오는 "나그네 새" 개미잡이[ wryneck ] 분류 : 딱따구리과의 조류 학명 : Jynx torquilla chinensis 우리나라에서 볼수 있는 딱따구리의 종류는 ~~ 청딱따구리 · 오색딱따구리 · 큰 오색딱따구리 · 쇠딱따구리 · 까막딱따구리 · 아물쇠딱따구리 · 크낙새 · 개미잡이 · 붉은배오색딱따구리 등 9종이 알려져 있다. 이 "개미잡이"는 조류의 분류학상으로.. "딱따구리과의 조류"로 분류를 하는데 ~~ 나무에 구멍을 파는 능력도 없을뿐더러 외형상 보기에는 "나무 발발이"를 연상케 하더군요. 중국의 북부 · 시베리아 · 사할린섬 · 아무르 일본 북부 등에 분포하며... 번식기에는 아주 드물게 소수가 4∼5월에 찾아와서 번식을 하는 "나그네새"로 분류 하고 있답니다. 자연적인 나무 구멍이나 .. 딱따구리의 묵.. 더보기 참으로 아름다운 새 ... flamingo flamingo 紅鶴 분류 : 조류 홍학 목의 한 과. 학명 : Phoenicopterus 이왕 온김에 ... 동물원을 잠시 둘러 보았다. 가장 먼저 "홍학"이 보였는데... 대부분이 잠을 자고 있더니 ... 나올 때 보니까 ~~ 두 마리가 물가에 나와서 목욕하고 몸을 단장하고 있더군요. 홍학은 태어날때 "회색"의 털인데... 그들의 먹이인 "게"와 "새우"등 갑각류에 있는 "아스 탄신"이라는 먹이를 섭취 하므로 점차 붉게 변한단다. 부리는 독특하게 중간 부분에서 밑으로 굽었다. 부리 가장자리에 가는 빗살모양의 여과기가 있어 윗부리를 아래로 하여 물에 담그고 혀를 피스톤처럼 움직여서 물을 빨아들인 뒤 여과기를 통해 물을 걸러내고 찌꺼기(아스 탄신)를 섭취한단다. 모두 "쿠바홍학"으로 ~~~ 뒤의 다소 흰.. 더보기 다람쥐원숭이[ common squirrel monkey ]의 모정 다람쥐원숭이[ common squirrel monkey ] 분류 : 꼬리 감는 원숭이과의 포유류. 학명 : Saimiri sciureus 몸길이 - 암컷 약 23∼29.5㎝, 수컷 25∼37㎝, 꼬리길이 - 암컷 37∼44.5㎝, 수컷 37∼46.5㎝ 아마존강(江) 유역 일대와 볼리비아에 걸쳐서 분포한다. 새끼는 한 배에 1마리를 낳는다. 뒤늦게 낳은듯한 새끼 한 마리 업고 안 가는곳이 없다. 새끼를 내려 놓더니 ...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장면이다. 젖을 물리고 마주 보는 눈길에서 무한한 사랑을 서로는 느끼는것 같다. 아이도... 어미도... 행복한 눈빛 교환이다. 보는 이도 가슴 뭉클한 장면이다. 사진 : 22. 09. 20 서울 대공원 장미원 뒤뜰에서 ~~~~ 더보기 뻐꾸기처럼 남의 벌집에 기생하는 청벌 " 구릿대 "위에서 ~~~ 큰 호리병벌(학명 : Oreumenes decoratus)과 왕청벌(학명 : Stilbumcyanurum)이 동시에 꿀을 탐하고 있습니다. 기구한 운명의 주인공 ~~~ "큰호리병벌"은 진흙으로 '호리병' 모양의 집을 짓고 그 속에 알을 낳습니다. 알을 낳은후 ... 알이 자라서 에벌레가 먹고 자랄 수 있게 '자벌레'를 잡아 마취시켜 몇마리 놓아두고 밀봉을 한답니다. 진흙집은 공기가 통하기 때문에 새끼들의 성장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하네요~~~ - 자료화면- 으로 캡쳐해온 '호리병 모양'의 벌집입니다 한편 "왕청벌"은 ... 집을 짖지 못하고 "큰 호리병 벌집"에 몰래 알을 낳아 기생하는"기생벌" 이랍니다. 산란관이 자기 몸 길이보다 길어 ... 구멍만 뚫고 산란만 하는 겨우도.. 더보기 오랫만에 촬영해 본 ... 새홀리기 [ Hobby ] 새홀리기 [ Hobby ] 분류 : 매목 매과의 조류. 학명 : Falco subbuteo 새(조류) 사진을 찍어 본 지가 1년도 더 지났다. 새 사진 안찍으려고 했는데... 지인이 같이 가자고 하여 따라 나선 길 ~~ 이미 며칠의 피크 타임은 지난 후였다. 아쉬움이 있지만 .. 이삭 줍는 마음으로 "새 홀리기" 증명사진으로 대치한다. 사진 : 22. 08. 21일 광교산에서 ~~~ 더보기 빛 방향에 따라 파랗게 보이는 ... '황오색나비' 황오색나비 분류 : 나비목 네발나비과의 곤충 학명 : Apatura metis, Freyer, 1829 한반도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에 폭넓게 분포한다네요 ~~ 지역에 따라 연 1~3회 발생하며, 6월부터 10월에 걸쳐 나타난답니다. 수컷의 윗면 바탕색은 검정색 무늬이나... 빛 방향에 따라 푸른색으로 보이는 특징이 있고요 빨대가 납작하고 노란색 입니다. 이런 나비류들은 꽃을 찾지 않는 답니다. 산지의 참나무/벚나무의 나무진을 빨아먹거나... 떨어진 나무열매의 진... 동물의 배설물에 잘 모인 답니다. 따라서 평소 사람들 눈에 잘 띄지 않는 이유 이기도 하죠. 사진 : 22. 08. 14 신구대수목원 임도 에서 ~~~ 더보기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120 다음